재단법인 수당재단은 제22회 수당상 수상자로기초과학 부문 김경렬 서울대 교수, 응용과학 부문 이정용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인문사회부문 박원호 고려대 명예교수를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수당상은 삼양그룹 창업주인 수당 김연수 회장의 인재육성 정신을 기려 1973년제정됐다. 기초과학·응용과학·인문사회 분야에서 1명씩 선정해 매년 상을 수여한다.
김경렬 교수는 30년간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며 동해 연구를 주도해 국내 해양학 위상을 국제적으로 높였으며 지구환경과학 분야 교육과 연구를 대중화한 공을인정받았다.
이정용 교수는 액체전자현미경학 분야 개척자이며 그래핀으로 액체를 밀봉하는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중국사 전문가 박원호 교수의 경우 중국 역사학계가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를 냈고 한·중 학술교류에 기여했다. 그의 중국휘주종족사연구는 출간 후 10년간 중국학계에서 서평 4편이 나왔고 논저 50여편에 인용될 정도로 중국 학계의 주목을 받아다.
시상식은 다음달 1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다. 수상자는 각각 1억원의 상금과 상패를 받는다.
se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수당상은 삼양그룹 창업주인 수당 김연수 회장의 인재육성 정신을 기려 1973년제정됐다. 기초과학·응용과학·인문사회 분야에서 1명씩 선정해 매년 상을 수여한다.
김경렬 교수는 30년간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며 동해 연구를 주도해 국내 해양학 위상을 국제적으로 높였으며 지구환경과학 분야 교육과 연구를 대중화한 공을인정받았다.
이정용 교수는 액체전자현미경학 분야 개척자이며 그래핀으로 액체를 밀봉하는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중국사 전문가 박원호 교수의 경우 중국 역사학계가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를 냈고 한·중 학술교류에 기여했다. 그의 중국휘주종족사연구는 출간 후 10년간 중국학계에서 서평 4편이 나왔고 논저 50여편에 인용될 정도로 중국 학계의 주목을 받아다.
시상식은 다음달 1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다. 수상자는 각각 1억원의 상금과 상패를 받는다.
se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