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전자통신연구원 공동 추진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멀티미디어부호화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1/SC29)에서 삼성전자, 경희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공동 추진한 차세대미디어전송기술(MMT)이 국제표준안으로 채택됐다고 6일 밝혔다.
MMT는 최근 20여 년간 전 세계 디지털방송 등에 사용된 HD급 전송기술(MPEG2)을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고화질 영상 전송기술이다.
그간 산업계·학계·연구소 등은 디지털방송, 전자상거래, 게임·영화산업을 비롯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활용하려고 차세대비디오압축표준(HEVC)과 더불어MMT의 국제표준 지정을 추진해 왔다.
인터넷 전송량이 늘더라도 영상 끊김 현상이 생기지 않고 채널별로 대용량의 콘텐츠를 유연하게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일반 방송과 인터넷 방송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복합형 스마트 TV에 가장 적합한기술이라고 기표원은 평가했다.
기표원은 "국제표준화기구의 멀티미디어표준(MPEG, JPEG)은 휴대전화 영상, HDTV, 3D TV 다양한 멀티미디어 제품에 활용되고 있어 한국이 미래형 스마트 TV, 초고화질 TV(U-HDTV) 등 멀티미디어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시장을 주도하는 데 도움이 될것"이라고 전망했다.
sewonle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멀티미디어부호화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1/SC29)에서 삼성전자, 경희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공동 추진한 차세대미디어전송기술(MMT)이 국제표준안으로 채택됐다고 6일 밝혔다.
MMT는 최근 20여 년간 전 세계 디지털방송 등에 사용된 HD급 전송기술(MPEG2)을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고화질 영상 전송기술이다.
그간 산업계·학계·연구소 등은 디지털방송, 전자상거래, 게임·영화산업을 비롯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활용하려고 차세대비디오압축표준(HEVC)과 더불어MMT의 국제표준 지정을 추진해 왔다.
인터넷 전송량이 늘더라도 영상 끊김 현상이 생기지 않고 채널별로 대용량의 콘텐츠를 유연하게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일반 방송과 인터넷 방송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복합형 스마트 TV에 가장 적합한기술이라고 기표원은 평가했다.
기표원은 "국제표준화기구의 멀티미디어표준(MPEG, JPEG)은 휴대전화 영상, HDTV, 3D TV 다양한 멀티미디어 제품에 활용되고 있어 한국이 미래형 스마트 TV, 초고화질 TV(U-HDTV) 등 멀티미디어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시장을 주도하는 데 도움이 될것"이라고 전망했다.
sewonle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