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특위서 STX 크루지움 사업 추진 소개
"월드컵 결승전을 태평양 한가운데 한국 조선사가 만든 배 위에서…" STX가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로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제2차전경련 창조경제 특별위원회에서 창조산업의 하나로 크루즈선과 스포츠경기장(스타디움)을 융합한 크루지움 사업을 제시했다.
정인철 STX 부사장은 이날 '미래형 선박 육성방안' 발표에서 크루지움과 모바일리조트(인공 리조트 선박) 등 융합형 선박이 미래 조선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올림픽, 월드컵 등과 같은 메가이벤트를 치를 수 있는 크루지움은 경제성분석 결과 연평균 매출이 9천500억원으로 일반 경기장의 2.7배이고, 투자비용 대비기대이익도 일반 경기장보다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X는 중동의 소규모 국가인 카타르가 2022년 월드컵을 유치하면서 12개의 신규스타디움 및 관람객용 호텔 건설 수요가 생긴 점에 착안, 이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했다.
STX가 카타르측에 월드컵 경기만을 위한 일회성 시설투자가 가진 한계와 대회후시설유휴화 가능성 등을 설파하자 카타르 월드컵조직위원회도 크루지움 프로젝트에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축구연맹(FIFA)도 선상경기의 안정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중이라고 STX는 전했다.
정 부사장은 이 크루지움이 현존하는 세계 최대 크루즈선보다 2배 큰 규모로 30개월간의 건조기간에 2만개의 일자리 창출과 설계분야, 협력업체로의 파급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유동성 부족으로 경영난에 처해있는 STX그룹은 이런 초대형 프로젝트를추진하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특위에선 김흥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이 가상현실 기술을 가상치료, 가상체험여행, 가상스포츠, 가상교육 등 분야에 융합해 미래형 융복합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핵심기술 확보와 규제문제 등이 해결돼 가상현실산업이 활성화되면 오는 2020년 가상현실 콘텐츠 시장은 5만명을 고용할 수 있는 시장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월 창조경제 관련 프로젝트를 발굴, 발표하는 창조경제 특위에는 이날 허창수전경련 회장을 비롯해 국회 신학용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 전하진 국회 미래인재육성포럼 대표, 나승일 교육부 차관, 그리고 특위위원 50여명이 참석했다.
jooh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월드컵 결승전을 태평양 한가운데 한국 조선사가 만든 배 위에서…" STX가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로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제2차전경련 창조경제 특별위원회에서 창조산업의 하나로 크루즈선과 스포츠경기장(스타디움)을 융합한 크루지움 사업을 제시했다.
정인철 STX 부사장은 이날 '미래형 선박 육성방안' 발표에서 크루지움과 모바일리조트(인공 리조트 선박) 등 융합형 선박이 미래 조선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올림픽, 월드컵 등과 같은 메가이벤트를 치를 수 있는 크루지움은 경제성분석 결과 연평균 매출이 9천500억원으로 일반 경기장의 2.7배이고, 투자비용 대비기대이익도 일반 경기장보다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X는 중동의 소규모 국가인 카타르가 2022년 월드컵을 유치하면서 12개의 신규스타디움 및 관람객용 호텔 건설 수요가 생긴 점에 착안, 이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했다.
STX가 카타르측에 월드컵 경기만을 위한 일회성 시설투자가 가진 한계와 대회후시설유휴화 가능성 등을 설파하자 카타르 월드컵조직위원회도 크루지움 프로젝트에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축구연맹(FIFA)도 선상경기의 안정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중이라고 STX는 전했다.
정 부사장은 이 크루지움이 현존하는 세계 최대 크루즈선보다 2배 큰 규모로 30개월간의 건조기간에 2만개의 일자리 창출과 설계분야, 협력업체로의 파급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유동성 부족으로 경영난에 처해있는 STX그룹은 이런 초대형 프로젝트를추진하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특위에선 김흥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이 가상현실 기술을 가상치료, 가상체험여행, 가상스포츠, 가상교육 등 분야에 융합해 미래형 융복합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핵심기술 확보와 규제문제 등이 해결돼 가상현실산업이 활성화되면 오는 2020년 가상현실 콘텐츠 시장은 5만명을 고용할 수 있는 시장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월 창조경제 관련 프로젝트를 발굴, 발표하는 창조경제 특위에는 이날 허창수전경련 회장을 비롯해 국회 신학용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 전하진 국회 미래인재육성포럼 대표, 나승일 교육부 차관, 그리고 특위위원 50여명이 참석했다.
jooh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