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비수기로 접어들어 부동산시장 양극화가심화하고 있다.
이달 말 취득세 감면 조치 종료를 앞두고 아파트 매매시장은 위축되고 있는 반면 대형 건설사들이 맞붙은 위례신도시 등 일부 분양시장에는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최근 주택시장에선 강남에 이어 강북 등 다른 지역까지 들썩이던 현상은 사라졌고, 매매시장이 오르면 분양시장이 뒤따라 인기를 끌던 패턴은 반대로 나타나고 있다.
◇ 매매시장 위축…재건축아파트, 4·1 대책 전보다 빠져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4·1 부동산 종합대책의 약발이 희미해지면서 아파트매매시장이 약세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114가 21일 기준으로 조사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주 0.06% 떨어져 4주 연속 하락했다.
4·1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상승을 주도해온 서울 재건축아파트들의 낙폭이 커지고 있다.
일부 서울 주요 재건축아파트 단지 가격은 4·1 대책 발표 전보다 오히려 떨어졌다.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공급면적 26.45㎡) 매매가격은 3억500만원으로 3월 말보다 6.15% 내렸다. 강남 개포동 시영아파트(공급면적 42.98㎡) 가격도 5억500만원으로 석 달 전과 비교해 5.61% 떨어졌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공급면적 42.54㎡)·주공1단지(58.07㎡)·주공4단지(42.54㎡),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한신3차)(148.76㎡) 등 단지들은 모두 4·1 대책 발표 전보다 4% 넘게 하락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강남과 재건축이 오르면 추격 매수세가 붙어강북 등 다른 지역까지 동반 상승하던 과거와는 달리 싼 급매물이 빠지고 나면 매수세가 없어 오히려 가격이 조정을 받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는 7월에서 가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위례신도시 등 분양시장 '인기몰이' 반면 위례신도시 등 일부 분양시장은 최근 수요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동안 분양일정을 잡지 못한 건설사들이 4·1 대책 발표 후 앞다퉈 물량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건설[000720]과 삼성물산[000830]이 21일 동시에 견본주택의 문을 열고 경쟁에 나선 위례신도시가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A2-12블록에 '위례신도시 힐스테이트' 621가구를, 삼성물산은 A2-5블록에 '래미안' 410가구를 각각 선보였다. 견본주택 오픈 첫날 각각 5천명 이상씩몰리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분양 관계자는 "두 건설사가 같은 날 분양에 나서 더 주목을 받고 있다"며 "수요자들도 두 건설사 상품 간 차이점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사전에 현대건설은 그룹 홈페이지에 상품 설명 등을 공개했고 삼성물산은 그룹관계사들을 돌며 설명회를 하는 등 계열사들도 적극 공략했다.
현대건설의 한 관계자는 "견본주택을 찾은 방문객들은 투자보다 실수요에 관심을 가졌다"며 "대형 평형이 많지만 청약률은 높게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삼성물산의 한 관계자는 "그룹 관계사 직원들 600여명으로부터 청약 의사를 받아 잠재고객이 모집가구의 10배 정도에 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두 건설사는 25∼27일 청약해 다음달 9∼11일 계약할 예정이다.
대우건설[047040]과 동부건설[005960]도 같은 날 경기도 김포시 '김포풍무 푸르지오 센트레빌'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을 개시했다. 공급량이 총 2천712가구에 달해물량 부담이 있으나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전체의 90%여서 4·1 대책에포함된다. 견본주택에도 예상보다 많은 방문객이 찾아왔다는 후문이다.
뒤를 이어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가재울뉴타운4구역 'DMC가재울4구역', 서초구내곡동, 성동구 하왕십리동, 강남 재건축 등 분양 물량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당분간 분양시장이 인기를 끌면서 매매시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다만 한꺼번에 물량이 많이 풀린데다 일부는 흥행에 실패해 결과적으로 미분양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indig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달 말 취득세 감면 조치 종료를 앞두고 아파트 매매시장은 위축되고 있는 반면 대형 건설사들이 맞붙은 위례신도시 등 일부 분양시장에는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최근 주택시장에선 강남에 이어 강북 등 다른 지역까지 들썩이던 현상은 사라졌고, 매매시장이 오르면 분양시장이 뒤따라 인기를 끌던 패턴은 반대로 나타나고 있다.
◇ 매매시장 위축…재건축아파트, 4·1 대책 전보다 빠져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4·1 부동산 종합대책의 약발이 희미해지면서 아파트매매시장이 약세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114가 21일 기준으로 조사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주 0.06% 떨어져 4주 연속 하락했다.
4·1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상승을 주도해온 서울 재건축아파트들의 낙폭이 커지고 있다.
일부 서울 주요 재건축아파트 단지 가격은 4·1 대책 발표 전보다 오히려 떨어졌다.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공급면적 26.45㎡) 매매가격은 3억500만원으로 3월 말보다 6.15% 내렸다. 강남 개포동 시영아파트(공급면적 42.98㎡) 가격도 5억500만원으로 석 달 전과 비교해 5.61% 떨어졌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공급면적 42.54㎡)·주공1단지(58.07㎡)·주공4단지(42.54㎡),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한신3차)(148.76㎡) 등 단지들은 모두 4·1 대책 발표 전보다 4% 넘게 하락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강남과 재건축이 오르면 추격 매수세가 붙어강북 등 다른 지역까지 동반 상승하던 과거와는 달리 싼 급매물이 빠지고 나면 매수세가 없어 오히려 가격이 조정을 받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는 7월에서 가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위례신도시 등 분양시장 '인기몰이' 반면 위례신도시 등 일부 분양시장은 최근 수요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동안 분양일정을 잡지 못한 건설사들이 4·1 대책 발표 후 앞다퉈 물량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건설[000720]과 삼성물산[000830]이 21일 동시에 견본주택의 문을 열고 경쟁에 나선 위례신도시가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A2-12블록에 '위례신도시 힐스테이트' 621가구를, 삼성물산은 A2-5블록에 '래미안' 410가구를 각각 선보였다. 견본주택 오픈 첫날 각각 5천명 이상씩몰리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분양 관계자는 "두 건설사가 같은 날 분양에 나서 더 주목을 받고 있다"며 "수요자들도 두 건설사 상품 간 차이점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사전에 현대건설은 그룹 홈페이지에 상품 설명 등을 공개했고 삼성물산은 그룹관계사들을 돌며 설명회를 하는 등 계열사들도 적극 공략했다.
현대건설의 한 관계자는 "견본주택을 찾은 방문객들은 투자보다 실수요에 관심을 가졌다"며 "대형 평형이 많지만 청약률은 높게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삼성물산의 한 관계자는 "그룹 관계사 직원들 600여명으로부터 청약 의사를 받아 잠재고객이 모집가구의 10배 정도에 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두 건설사는 25∼27일 청약해 다음달 9∼11일 계약할 예정이다.
대우건설[047040]과 동부건설[005960]도 같은 날 경기도 김포시 '김포풍무 푸르지오 센트레빌'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을 개시했다. 공급량이 총 2천712가구에 달해물량 부담이 있으나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전체의 90%여서 4·1 대책에포함된다. 견본주택에도 예상보다 많은 방문객이 찾아왔다는 후문이다.
뒤를 이어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가재울뉴타운4구역 'DMC가재울4구역', 서초구내곡동, 성동구 하왕십리동, 강남 재건축 등 분양 물량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당분간 분양시장이 인기를 끌면서 매매시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다만 한꺼번에 물량이 많이 풀린데다 일부는 흥행에 실패해 결과적으로 미분양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indig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