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장 변화상, 한마디로 '환골탈태'>

입력 2013-06-24 12:01  

전경련, 5가지 사자성어로 중국 변화상 소개

"중국 진출한 외국 기업들 '토사구팽', 첨단 산업 수출 실적 증가해 산업 구조는 '환골탈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4일 중국 시장의 변화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5가지 키워드를 뽑아냈다.

◇ 중국 진출기업, 토사구팽(兎死狗烹) 중국은 개방 초기 외국 자본에 '초국민 대우'를 보장하는 등 적극적으로 외자를유치했지만 최근 외자기업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감소했다.

중국내 외자기업 수출액은 2007년 6천958억7천만달러에서 작년 1조158억5천만달러로 2배 가까이 늘었지만 동기간 총 수출액에서 외자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57.1%에서 49.6%로 뒷걸음질쳤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선별적인 외국인 투자'를 기치로 내걸고 외국기업에 대한 세금 혜택을 점차 줄이고 있다.

◇ 가공무역 퇴조, 자급자족(自給自足) 원자재나 반제품을 가공해 재수출하는 가공무역은 한때 중국의 주력 산업이었지만 최근 수출액(2012년 1천833억7천만달러)과 수출 비중(8.9%)이 모두 급락했다.

가공무역이 부진한 요인은 1차적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완제품 수요 감소에 있지만 장기적인 전망도 어둡다. 중국 업체의 기술이 발달해 외부에서 반제품을 수입할 필요성이 감소했기 때문.

이 같은 추세는 대중국 수출구조에서 중간재 비중이 73.2%를 차지하는 우리 산업계에 타격을 입힐 가능성이 크다고 전경련은 경고했다.

◇ 세계1위 품목 최다, 유아독존(唯我獨尊) 중국은 세계 수출시장에서 점유율 1위 품목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수출 1위 품목 수는 1천431개로 2위 독일(777개),3위 미국(589개)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중국이 농산물과 노동집약적 산업 등 전통적으로 우위를 점한 분야 외에도다양한 산업에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는 뜻이다.

◇ 첨단품목 수출, 환골탈태(換骨奪胎) 중국은 최근 수년간 의료·정밀기기, 항공우주장비, 컴퓨터장비 등 첨단품목의수출에서 5∼6배에 달하는 실적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항공우주장비의 경우 2002년 조사에서는 한국의 수출 실적이 1억9천만달러로 중국(1억달러)에 비해 높았지만 2011년에는 한국 2억달러, 중국 12억7천만달러로전세가 역전됐다.

◇ 국제특허 등록, 괄목상대(刮目相待) 중국은 국제특허 수에서도 한국을 따돌렸다.

한국의 국제특허 등록수는 2007년 7천64개에서 작년 1만1천848건으로 늘었지만순위는 한계단 떨어진 5위에 그쳤다. 동기간 중국의 국제특허는 5천455건에서 1만8천627건으로 급증해 4위를 차지했다.

작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제특허를 출원한 중국 통신장비업체 ZTE사(3천906건)는 하루에 10개가 넘는 특허를 쏟아내고 있다.

전경련은 중국 정부가 R&D 투자를 늘리고 대외 기술의존도를 줄여감에 따라 우리 산업계가 위기에 처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이 중점 투자하는 전략산업분야가 우리와 겹쳐 2011년 한국이 수출점유율 1위를 내준 26개 품목 가운데 12개가 중국에 돌아갔다. 1위를 지킨 61개 품목에서도 13개 품목은 중국이 2위를 차지했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본부장은 "기업은 중국 내수·서비스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새로 짜고 정부는 우리 기업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eugeni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