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대한상의 입장 추가.>>경총·전경련·상의 등 입장 표명
한국경영자총협회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들은 지난 20일 현대차[005380] 희망버스의 폭력사태가 발생한데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엄정한 법집행을 촉구했다.
경총은 22일 '현대차 희망버스 폭력행위에 대한 경영계 입장'을 내고 ▲ 민주노총의 불법행위를 통한 문제해결 시도 중단 ▲ 외부세력의 개별기업 노사문제 불법개입 중단 ▲ 공권력의 불법행위자 엄정 처벌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과 비정규직없는 세상만들기 네트워크 등은 지난 20일 현대자동차 울산3공장 진입을 시도하다 회사측관리자들과 충돌했으며, 이로 인해 수십명이 부상하고현대자동차 울산 1공장 생산라인은 20분간 중단됐다.
경총은 "좌파 노동·정치단체들이 희망버스라는 이름으로 공장 진입을 시도하면서 죽봉과 쇠파이프를 휘두르는 등 극단적인 폭력행위를 자행했다"면서 "이번 불법행위는 사전에 치밀하게 기획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민주노총의 새로운 위원장이 지난 18일 선출된 것을 언급하며 "새 위원장은 취임하자마자 극단적인 폭력행위를 주도하며 노사관계를 폭력으로 얼룩지게 했다"고 비난하고 "비정규직없는 세상만들기 네트워크 등 좌파단체들이 한진중공업[097230], 쌍용자동차, 제주도 강정마을 불법법시위에 이어 이번 시위를 주도하며 법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사회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총은 노동계에 대해서는 불법행위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중단할 것을요구했고, 외부세력은 개별기업 노사문제에 불법개입해 사회불안을 야기하는 행위를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경총은 경찰이 불법시위에 엄정하게 대처해 줄 것도 요청했다.
경총은 "경찰이 불법시위에 적절하게 대비하지 않은데다 시위 주동자 7명을 잡았다가 풀어준 것은 유감"이라면서 "'공권력에 의해서도 기업활동이 보장받을 수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전경련도 이날 논평을 통해 "폭력행위는 자유민주주의 및 법치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용서받을 수 없는 행위"라며 폭력사태 주도자들에 대한 엄정한 법집행을 촉구했다.
또 노동계에 대해서는 불법행위를 중단하고 대화를 통한 해결책을 강구해줄 것을 당부했다.
대한상의도 폭력사태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을 요구했다.
박종갑 상무는 "'희망'이란 이름으로 사전에 기획된 불법폭력시위는 국민에게 '절망'만 안겨줬다"면서 "정부는 이 같은 불법폭력시위가 산업현장에서 재발하지 않도록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sungj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경영자총협회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들은 지난 20일 현대차[005380] 희망버스의 폭력사태가 발생한데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엄정한 법집행을 촉구했다.
경총은 22일 '현대차 희망버스 폭력행위에 대한 경영계 입장'을 내고 ▲ 민주노총의 불법행위를 통한 문제해결 시도 중단 ▲ 외부세력의 개별기업 노사문제 불법개입 중단 ▲ 공권력의 불법행위자 엄정 처벌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과 비정규직없는 세상만들기 네트워크 등은 지난 20일 현대자동차 울산3공장 진입을 시도하다 회사측관리자들과 충돌했으며, 이로 인해 수십명이 부상하고현대자동차 울산 1공장 생산라인은 20분간 중단됐다.
경총은 "좌파 노동·정치단체들이 희망버스라는 이름으로 공장 진입을 시도하면서 죽봉과 쇠파이프를 휘두르는 등 극단적인 폭력행위를 자행했다"면서 "이번 불법행위는 사전에 치밀하게 기획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민주노총의 새로운 위원장이 지난 18일 선출된 것을 언급하며 "새 위원장은 취임하자마자 극단적인 폭력행위를 주도하며 노사관계를 폭력으로 얼룩지게 했다"고 비난하고 "비정규직없는 세상만들기 네트워크 등 좌파단체들이 한진중공업[097230], 쌍용자동차, 제주도 강정마을 불법법시위에 이어 이번 시위를 주도하며 법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사회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총은 노동계에 대해서는 불법행위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중단할 것을요구했고, 외부세력은 개별기업 노사문제에 불법개입해 사회불안을 야기하는 행위를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경총은 경찰이 불법시위에 엄정하게 대처해 줄 것도 요청했다.
경총은 "경찰이 불법시위에 적절하게 대비하지 않은데다 시위 주동자 7명을 잡았다가 풀어준 것은 유감"이라면서 "'공권력에 의해서도 기업활동이 보장받을 수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전경련도 이날 논평을 통해 "폭력행위는 자유민주주의 및 법치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용서받을 수 없는 행위"라며 폭력사태 주도자들에 대한 엄정한 법집행을 촉구했다.
또 노동계에 대해서는 불법행위를 중단하고 대화를 통한 해결책을 강구해줄 것을 당부했다.
대한상의도 폭력사태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을 요구했다.
박종갑 상무는 "'희망'이란 이름으로 사전에 기획된 불법폭력시위는 국민에게 '절망'만 안겨줬다"면서 "정부는 이 같은 불법폭력시위가 산업현장에서 재발하지 않도록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sungj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