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성공적 개최 등 고려
국토교통부는 2017년말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원주∼강릉선 철도 운영을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 맡기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 6월 철도산업발전방안을 발표하면서 원주∼강릉, 소사∼원시, 부전∼일광, 성남∼여주 등 4개 신규 노선에 민간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게 하되 원주∼강릉선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간선 간 네트워크 효과 등을 고려해 코레일이 운영하는 것을 우선으로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다.
원주∼강릉선은 120.3㎞ 길이의 복선전철로 최대 시속 250㎞로 주행할 수 있는준고속선이다. 2018년 평창올림픽 수송 지원과 강원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건설되고 있다.
현재 서울 청량리에서 강릉까지 중앙선과 태백선, 영동선을 이용해 6시간 이상걸리지만, 원주∼강릉선이 생기면 1시간 30분대로 단축된다. 2시간 30분 정도 걸리는 고속도로와 비교해 철도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애초 약속한 대로 평창올림픽 기간에는 인천공항에서 KTX가출발해 용산과 청량리를 거쳐 평창과 강릉까지 열차를 갈아타지 않고 갈 수 있도록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노선 운영자가 결정된 만큼 코레일, 철도시설공단과 함께 안전한 개통과 효율적인 운영에 온 힘을 쏟기로 했다. 특히 철도역 건설 등에 코레일의 의견을최대한 반영하고 차량 구입비 50%를 지원할 예정이다.
kimy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토교통부는 2017년말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원주∼강릉선 철도 운영을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 맡기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 6월 철도산업발전방안을 발표하면서 원주∼강릉, 소사∼원시, 부전∼일광, 성남∼여주 등 4개 신규 노선에 민간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게 하되 원주∼강릉선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간선 간 네트워크 효과 등을 고려해 코레일이 운영하는 것을 우선으로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다.
원주∼강릉선은 120.3㎞ 길이의 복선전철로 최대 시속 250㎞로 주행할 수 있는준고속선이다. 2018년 평창올림픽 수송 지원과 강원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건설되고 있다.
현재 서울 청량리에서 강릉까지 중앙선과 태백선, 영동선을 이용해 6시간 이상걸리지만, 원주∼강릉선이 생기면 1시간 30분대로 단축된다. 2시간 30분 정도 걸리는 고속도로와 비교해 철도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애초 약속한 대로 평창올림픽 기간에는 인천공항에서 KTX가출발해 용산과 청량리를 거쳐 평창과 강릉까지 열차를 갈아타지 않고 갈 수 있도록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노선 운영자가 결정된 만큼 코레일, 철도시설공단과 함께 안전한 개통과 효율적인 운영에 온 힘을 쏟기로 했다. 특히 철도역 건설 등에 코레일의 의견을최대한 반영하고 차량 구입비 50%를 지원할 예정이다.
kimy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