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러시아에서 6년來 최고 점유율

입력 2013-09-18 07:15  

양사 합쳐 13.8% 기록, 2007년 수준 회복해

현대·기아자동차가 올해 1∼8월 러시아 시장에서 2007년 이후 최고 점유율을 기록했다.

18일 유럽기업인협회(AEB)에 따르면 올해 들어 러시아에서 총 179만9천805대의자동차가 팔린 가운데 기아차는 12만8천982대, 현대차[005380]는 11만8천438대를 각각 판매해 시장 점유율 7.2%와 6.6%를 차지했다.

양사 점유율을 합치면 13.8%에 달해 2007년 수준을 회복했다.

현대기아차의 러시아 시장 점유율은 2007년 13.8%에 도달했다가 미국발 금융위기 여파가 본격화한 2008년 9.7%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2009년부터는 다시 상승세로돌아서 올해까지 6년 연속 증가할 전망이다.

브랜드별 순위에서는 기아차와 현대차가 나란히 3∼4위에 올랐다.

러시아 자동차 시장은 전체 판매 대수가 작년 동기보다 7% 감소하는 등 위축됐다. 30만3천357대를 팔아(16.9%) 브랜드별 실적 1위를 차지한 현지 업체인 '라다'역시 작년에 비해 판매량이 13% 줄었다.

그러나 기아차와 현대차 판매량은 각각 4%와 1% 상승했다. 그밖에 국내 완성차업체로는 쌍용자동차가 작년보다 10% 늘어난 2만2천450대를 팔아 21위에 올랐다.

현대기아차의 러시아 점유율 상승 배경에는 2010년 9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준공한 현지 공장이 있다고 업체는 설명했다. 이 공장에서는 현지 전략형 차종인 쏠라리스(엑센트)와 리오(프라이드)가 생산된다.

쏠라리스와 리오는 지난달 각각 7만5천81대와 5만9천46대가 팔려 라다의 그란타(11만3천734대 판매)에 이어 모델별 판매량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특히 쏠라리스는 러시아의 혹독한 환경 요인과 운전 문화를 반영해 철저히 현지맞춤형으로 제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날씨에 맞춰 저온에서도 시동이 잘 걸리는 배터리, 4ℓ대용량 워셔액 탱크, 타이어 머드 가드를 기본 적용했고 중형급 이상 차량의 옵션인'윈드실드 와이퍼 결빙방지 장치'도 달았다.

급출발·급제동이 빈번한 운전 습관을 감안해 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으로 비상깜빡이를 켜는 '급제동 경보 장치'(ESS)를, 헤드램프를 계속 켜두는 운전자가 많아다른 지역보다 수명이 긴 램프를 장착하기도 했다.

현대기아차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도 현지 맞춤형 전략 차종을 내세워 시장 지배력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eugeni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