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내 유망 산업 분야와 투자 유치 노력 등 대통령 현장 발언 내용 추가.>>경제단체·기업인들과 '비즈니스 서밋 오찬'"한국과 폴란드는 젊은 호랑이…투자 안전성·인센티브 강화할 것"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이후 유럽 정상들 가운데처음 한국을 찾은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폴란드 대통령이 22일 기업인들을 만나 폴란드 인프라 개발에 투자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이날 서울시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국-폴란드 비즈니스 서밋 오찬'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코모로프스키 대통령과 야뉴쉬 파에호친스키 부총리 등 폴란드 사절단과 전경련 허창수 회장을 비롯한 대한상공회의소·중소기업중앙회·한국무역협회 등 주요 경제단체 대표, 기업인 등 190여명이 참석했다.
전경련은 국내 기업인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하고 싶다는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의요청에 따라 행사를 준비했다.
허창수 회장은 환영사에서 "한강의 기적을 이룬 한국은 폴란드에게 최적의 경제협력 파트너"라면서 "폴란드 정부가 산업기반 확충을 위해 추진 중인 인프라 개발프로젝트에 다수 국내 기업들이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양국은 전자·자동차·제약 부문에서 오랜 협력 관계를 구축했고 폴란드가 최근 도로·철도 등 인프라 개발을 추진 중인 점을 감안하면 건설·조달 등으로협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같은 기대감을 반영한 듯 이날 행사에는 현대건설·GS건설·포스코건설·롯데건설·삼부토건·삼성물산 등 건설업체와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들이 대거 배석했다.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은 "폴란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유럽 강대국들 사이에 낀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고난의 역사를 겪어야 했지만 이제는 동서유럽의 가교 역할을하는 장점을 갖추게 됐다"면서 우수한 접근성을 강조했다.
이어 "폴란드는 유럽 경기 침체 위기에서도 성장세를 유지해 최근 5년간 성장률합계가 18%에 달하는 매력적인 투자처"라면서 "현재 150여개 한국 기업이 폴란드에투자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은 향후 유망한 폴란드내 투자 분야로 가전산업·재생가능에너지·요트산업·전기기계 부문 등을 꼽았다.
또 "투자 안정성을 강화해달라는 한국 파트너들의 요청에 따라 조치를 진행 중이고 2026년까지 특별경제구역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를 확충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한국과 폴란드는 각각 아시아와 유럽의 젊은 호랑이"라면서 한국-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EU의 개발기금 등을 한국 과학기술 혁신의 계기로 삼을 것을 조언했다.
폴란드 정부는 오찬에 앞서 각 기업의 해외 투자담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투자환경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eugeni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이후 유럽 정상들 가운데처음 한국을 찾은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폴란드 대통령이 22일 기업인들을 만나 폴란드 인프라 개발에 투자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이날 서울시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국-폴란드 비즈니스 서밋 오찬'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코모로프스키 대통령과 야뉴쉬 파에호친스키 부총리 등 폴란드 사절단과 전경련 허창수 회장을 비롯한 대한상공회의소·중소기업중앙회·한국무역협회 등 주요 경제단체 대표, 기업인 등 190여명이 참석했다.
전경련은 국내 기업인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하고 싶다는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의요청에 따라 행사를 준비했다.
허창수 회장은 환영사에서 "한강의 기적을 이룬 한국은 폴란드에게 최적의 경제협력 파트너"라면서 "폴란드 정부가 산업기반 확충을 위해 추진 중인 인프라 개발프로젝트에 다수 국내 기업들이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양국은 전자·자동차·제약 부문에서 오랜 협력 관계를 구축했고 폴란드가 최근 도로·철도 등 인프라 개발을 추진 중인 점을 감안하면 건설·조달 등으로협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같은 기대감을 반영한 듯 이날 행사에는 현대건설·GS건설·포스코건설·롯데건설·삼부토건·삼성물산 등 건설업체와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들이 대거 배석했다.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은 "폴란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유럽 강대국들 사이에 낀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고난의 역사를 겪어야 했지만 이제는 동서유럽의 가교 역할을하는 장점을 갖추게 됐다"면서 우수한 접근성을 강조했다.
이어 "폴란드는 유럽 경기 침체 위기에서도 성장세를 유지해 최근 5년간 성장률합계가 18%에 달하는 매력적인 투자처"라면서 "현재 150여개 한국 기업이 폴란드에투자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은 향후 유망한 폴란드내 투자 분야로 가전산업·재생가능에너지·요트산업·전기기계 부문 등을 꼽았다.
또 "투자 안정성을 강화해달라는 한국 파트너들의 요청에 따라 조치를 진행 중이고 2026년까지 특별경제구역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를 확충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한국과 폴란드는 각각 아시아와 유럽의 젊은 호랑이"라면서 한국-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EU의 개발기금 등을 한국 과학기술 혁신의 계기로 삼을 것을 조언했다.
폴란드 정부는 오찬에 앞서 각 기업의 해외 투자담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투자환경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eugeni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