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범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국회가 기업인들을 대거 불러 국정감사를 하는 데 대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이 회장은 24일 조선호텔에서 열린 경총포럼 인사말에서 올해 국정감사를 '역대최악의 기업 감사'라고 정의하면서 기업인 증인 소환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올해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된 기업인은 총 196명으로 작년보다 32명 늘었다.
이 회장은 "국감에 출석한 기업인들이 제대로 된 소명의 기회도 갖지 못한 채 일방적인 공세에 시달리다 국감장을 떠나는 현상도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국회에 제출된 경제활성화를 위한 법안이 100여개에 이르지만 정쟁에발목이 묶여 있는 상황이라면서 국회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이어 "최근 의회권력의 비대화를 우려하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지만 국회가 갈등을 봉합하고 치유하기보다는 사회갈등을 정쟁에 이용함으로써 오히려 갈등을 키우는측면이 있다"고도 했다.
지난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쌍용차 관계자들이 노사 자율해결의 중요성을 호소한 것도 국회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전문가들이 현재의 사회갈등을 극복하지 못하면 중진국 함정에 빠지거나 일본식 장기불황이 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면서 우리 국회가 소모적인 정쟁을멈추고 합리적인 정책 개선안을 찾는 생산적인 국회가 돼 달라고 주문했다.
이 회장은 우리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에 대해 미국발 불확실성, 신흥 공업국의 성장 둔화, 최근 일부 대기업의 법정관리나 검찰수사 등으로 인한 금융시장 경색등으로 여전히 어렵다고 진단했다.
또 최근 고용증가가 중·고령층에 집중되고 청년층의 취업은 여전히 힘든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며 다양한 고용형태를 창출하면서 총 고용량을 늘리는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기업투자 활성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한편 근로시간, 해고, 임금체계 및 휴가제 등을 보다 유연하게 개편해 기업의 고용의지를 북돋워주는 일이무엇보다 중요하다고도 덧붙였다.
runr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 회장은 24일 조선호텔에서 열린 경총포럼 인사말에서 올해 국정감사를 '역대최악의 기업 감사'라고 정의하면서 기업인 증인 소환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올해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된 기업인은 총 196명으로 작년보다 32명 늘었다.
이 회장은 "국감에 출석한 기업인들이 제대로 된 소명의 기회도 갖지 못한 채 일방적인 공세에 시달리다 국감장을 떠나는 현상도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국회에 제출된 경제활성화를 위한 법안이 100여개에 이르지만 정쟁에발목이 묶여 있는 상황이라면서 국회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이어 "최근 의회권력의 비대화를 우려하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지만 국회가 갈등을 봉합하고 치유하기보다는 사회갈등을 정쟁에 이용함으로써 오히려 갈등을 키우는측면이 있다"고도 했다.
지난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쌍용차 관계자들이 노사 자율해결의 중요성을 호소한 것도 국회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전문가들이 현재의 사회갈등을 극복하지 못하면 중진국 함정에 빠지거나 일본식 장기불황이 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면서 우리 국회가 소모적인 정쟁을멈추고 합리적인 정책 개선안을 찾는 생산적인 국회가 돼 달라고 주문했다.
이 회장은 우리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에 대해 미국발 불확실성, 신흥 공업국의 성장 둔화, 최근 일부 대기업의 법정관리나 검찰수사 등으로 인한 금융시장 경색등으로 여전히 어렵다고 진단했다.
또 최근 고용증가가 중·고령층에 집중되고 청년층의 취업은 여전히 힘든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며 다양한 고용형태를 창출하면서 총 고용량을 늘리는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기업투자 활성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한편 근로시간, 해고, 임금체계 및 휴가제 등을 보다 유연하게 개편해 기업의 고용의지를 북돋워주는 일이무엇보다 중요하다고도 덧붙였다.
runr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