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부속서에 담겨
새만금개발청은 3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정상이 한·중 경제협력의 사례로 '새만금 한·중 경제협력단지'를 조성하는 데 공동의 관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날 채택된 정상회담 부속서에는 "양측은 새만금 한·중 경제협력단지에 대해추후 지속 협의해 나가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기로 합의했다"는 문구가 담겼다.
새만금 한·중 단지는 한국과 중국이 공동으로 새만금 간척지를 매립한 뒤 단지를 조성하고 국내외 투자를 유치해 도시를 개발한다는 구상을 담고 있다.
특히 첨단산업기능을 주축으로 하면서 교육·연구개발(R&D)·주거·상업·관광·레저 등 여러 기능이 조화를 이룬 '자족적 복합도시'로 조성한다는 목표다.
새만금 한·중 단지는 작년 6월 양국 정상이 경제 분야 협력 확대에 합의한 것이 맹아가 됐다. 이어 12월 열린 한·중 경제장관회의에서 경제협력의 성공 사례로새만금 한·중 단지를 공동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새만금 한·중 단지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정상이 관심을 갖는 국가적경제협력 의제로 격상됐다.
이병국 새만금개발청장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새만금 한·중 단지 조성 사업이 국가적 어젠다로 위상이 강화됐다"며 "경협단지를 통해 양국의 경제적 이익이극대화되고 이 단지가 새만금사업 성공의 견인차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하진 전북지사도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국책사업으로서 새만금사업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새만금 한·중 단지가 성공적으로 조성되도록 협조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날 오전 정상회담에 앞서 서울 염곡동 코트라에서 열린 '한국투자환경 설명회'에서 120여개 중국 기업 총수를 대상으로 새만금 한·중 단지 조성계획을 소개하고 중국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한·중 단지가 중국 쑤저우에 조성된 '중·싱가포르 공업원구'처럼 양국의 자본과 기술력, 경영 노하우 등을 결합해 경제적 이익을 공유할있는 지구가 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새만금 한·중 단지의 입지로는 새만금 간척지 내 북측·남측 복합도시용지, 산업용지, 농업용지 등이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은 중국과 협의해 최종 입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와 양국 전문가 및 관계기관 간협의를 거쳐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추진 방안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isyph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새만금개발청은 3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정상이 한·중 경제협력의 사례로 '새만금 한·중 경제협력단지'를 조성하는 데 공동의 관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날 채택된 정상회담 부속서에는 "양측은 새만금 한·중 경제협력단지에 대해추후 지속 협의해 나가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기로 합의했다"는 문구가 담겼다.
새만금 한·중 단지는 한국과 중국이 공동으로 새만금 간척지를 매립한 뒤 단지를 조성하고 국내외 투자를 유치해 도시를 개발한다는 구상을 담고 있다.
특히 첨단산업기능을 주축으로 하면서 교육·연구개발(R&D)·주거·상업·관광·레저 등 여러 기능이 조화를 이룬 '자족적 복합도시'로 조성한다는 목표다.
새만금 한·중 단지는 작년 6월 양국 정상이 경제 분야 협력 확대에 합의한 것이 맹아가 됐다. 이어 12월 열린 한·중 경제장관회의에서 경제협력의 성공 사례로새만금 한·중 단지를 공동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새만금 한·중 단지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정상이 관심을 갖는 국가적경제협력 의제로 격상됐다.
이병국 새만금개발청장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새만금 한·중 단지 조성 사업이 국가적 어젠다로 위상이 강화됐다"며 "경협단지를 통해 양국의 경제적 이익이극대화되고 이 단지가 새만금사업 성공의 견인차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하진 전북지사도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국책사업으로서 새만금사업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새만금 한·중 단지가 성공적으로 조성되도록 협조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날 오전 정상회담에 앞서 서울 염곡동 코트라에서 열린 '한국투자환경 설명회'에서 120여개 중국 기업 총수를 대상으로 새만금 한·중 단지 조성계획을 소개하고 중국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한·중 단지가 중국 쑤저우에 조성된 '중·싱가포르 공업원구'처럼 양국의 자본과 기술력, 경영 노하우 등을 결합해 경제적 이익을 공유할있는 지구가 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새만금 한·중 단지의 입지로는 새만금 간척지 내 북측·남측 복합도시용지, 산업용지, 농업용지 등이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은 중국과 협의해 최종 입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와 양국 전문가 및 관계기관 간협의를 거쳐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추진 방안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isyph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