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경제에서 소비 부진한 데에는 가계부채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9일 '가계부채가 소비 부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한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얼마를 소비·지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평균소비성향이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2010년 77.3이었던 평균소비성향은 2011년 76.7, 2012년 74.1를 거쳐 지난해에는 73.5까지 떨어졌다.
반대로 같은 시기에 가계 흑자율은 상승했다. 2010년 22.7%에서 2011년 23.3%,2012년 25.9%를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26.6%까지 올랐다. 평균소비성향과 정반대의양상을 보인 것이다.
이를 두고 보고서는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빚을 갚고 저축을 늘리면서 가계흑자율은 증가했지만 정반대로 소비 부진을 가져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가계부채와 소비의 상관관계를 다른 방식으로도 입증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국내에서 소득에 비해 부채비율이 높은 지역의 소비 증가율이 높았지만 금융위기 이후부터는 반대가 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2008년 이후로는 부채비율이 높은 지역의 소비가 저조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과거에는 부채가 가계의 예산 제약을 완화하면서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냈지만 최근 들어 부채비율이 높은 수준에 달하고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면서가계부채가 소비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가계에서 부채를 정리해 빚을 줄이려는 '디레버리징'이 본격화하면소비억제 효과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와 가계소득 향상을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취약계층의 소득 창출을 지원할 정책이 요청된다"고 밝혔다.
prayer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산업연구원은 9일 '가계부채가 소비 부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한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얼마를 소비·지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평균소비성향이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2010년 77.3이었던 평균소비성향은 2011년 76.7, 2012년 74.1를 거쳐 지난해에는 73.5까지 떨어졌다.
반대로 같은 시기에 가계 흑자율은 상승했다. 2010년 22.7%에서 2011년 23.3%,2012년 25.9%를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26.6%까지 올랐다. 평균소비성향과 정반대의양상을 보인 것이다.
이를 두고 보고서는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빚을 갚고 저축을 늘리면서 가계흑자율은 증가했지만 정반대로 소비 부진을 가져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가계부채와 소비의 상관관계를 다른 방식으로도 입증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국내에서 소득에 비해 부채비율이 높은 지역의 소비 증가율이 높았지만 금융위기 이후부터는 반대가 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2008년 이후로는 부채비율이 높은 지역의 소비가 저조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과거에는 부채가 가계의 예산 제약을 완화하면서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냈지만 최근 들어 부채비율이 높은 수준에 달하고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면서가계부채가 소비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가계에서 부채를 정리해 빚을 줄이려는 '디레버리징'이 본격화하면소비억제 효과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와 가계소득 향상을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취약계층의 소득 창출을 지원할 정책이 요청된다"고 밝혔다.
prayer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