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부대편' 서진규 희망연구소 소장
"힘들다고 피하지 마세요. 내 운명은 내가 결정하는 것입니다." 서진규(66) 희망연구소 소장이 30일 강원도 인제 하늘내린센터에서 열린 삼성그룹의 토크콘서트 '열정락서-전방부대편'에서 가발공장 여공으로 출발해 미국 하버드대 박사가 된 드라마 같은 인생 얘기로 육군 최전방 12사단 을지부대 장병 700여명을 숨죽이게 했다.
서 소장은 1948년 가난한 술 장사꾼의 딸로 태어났다.
"진규는 크면 박사가 되라"는 초등학교 6학년 담임 선생님의 말에 '박사의 꿈'을 갖게 된 그는 대학에 가고 싶었지만 등록금을 댈 수가 없었다.
결국 고등학교 졸업 후 가발공장에 취직했다. 다람쥐 쳇바퀴 돌 듯하는 여공 생활을 이어가던 그는, 우연히 미국에서 가정부를 구한다는 구인광고를 보고 단돈 100달러를 들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1971년 스물세 살 때였다.
서툰 영어로 가정부, 한식당 종업원으로 전전하던 그의 생활은 시간이 갈수록조금씩 나아졌다. 결혼을 하고 아이도 낳았다.
하지만 잠시 찾아온 평온은 남편의 폭력으로 다시 깨졌다.
남편을 피해 찾아간 곳이 군대였다. 미 육군에 자원입대한 그는 이를 악물고 노력한 끝에 최우수 훈련병으로 군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장교로 임관해 소령까지진급했다.
그때까지도 그는 어릴 적 '박사의 꿈'을 잃지 않았다. 1990년 마흔둘의 나이에하버드대 석사 과정에 입학해 결국 2006년 박사 학위를 거머쥐었다.
서 소장은 수많은 역경을 마주하면서 "나 자신이 나의 가장 큰 동지"라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했다.
아울러 "너는 큰 인물이 돼 수많은 어려운 사람들을 도울 것"이라며 끊임없이자기최면을 걸었던 것이 결국 갖은 난관을 이겨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고 고백했다.
두 번째 강연자로 나선 신영철 강북삼성병원 교수(정신과 전문의)는 최근 군대에서 발생하는 동료·상하 간 갈등 문제를 언급하면서 "내가 편하지 않고 힘든 상황에 어떻게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겠는가? 우선 나부터 행복해져야 한다"는 처방을 내놨다.
이어 내가 행복하면서 남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스트레스에 성숙하게대처할 수 있는 '마음의 맷집'과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인의 감성'을 키우라고 장병들에게 조언했다.
abullapi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힘들다고 피하지 마세요. 내 운명은 내가 결정하는 것입니다." 서진규(66) 희망연구소 소장이 30일 강원도 인제 하늘내린센터에서 열린 삼성그룹의 토크콘서트 '열정락서-전방부대편'에서 가발공장 여공으로 출발해 미국 하버드대 박사가 된 드라마 같은 인생 얘기로 육군 최전방 12사단 을지부대 장병 700여명을 숨죽이게 했다.
서 소장은 1948년 가난한 술 장사꾼의 딸로 태어났다.
"진규는 크면 박사가 되라"는 초등학교 6학년 담임 선생님의 말에 '박사의 꿈'을 갖게 된 그는 대학에 가고 싶었지만 등록금을 댈 수가 없었다.
결국 고등학교 졸업 후 가발공장에 취직했다. 다람쥐 쳇바퀴 돌 듯하는 여공 생활을 이어가던 그는, 우연히 미국에서 가정부를 구한다는 구인광고를 보고 단돈 100달러를 들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1971년 스물세 살 때였다.
서툰 영어로 가정부, 한식당 종업원으로 전전하던 그의 생활은 시간이 갈수록조금씩 나아졌다. 결혼을 하고 아이도 낳았다.
하지만 잠시 찾아온 평온은 남편의 폭력으로 다시 깨졌다.
남편을 피해 찾아간 곳이 군대였다. 미 육군에 자원입대한 그는 이를 악물고 노력한 끝에 최우수 훈련병으로 군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장교로 임관해 소령까지진급했다.
그때까지도 그는 어릴 적 '박사의 꿈'을 잃지 않았다. 1990년 마흔둘의 나이에하버드대 석사 과정에 입학해 결국 2006년 박사 학위를 거머쥐었다.
서 소장은 수많은 역경을 마주하면서 "나 자신이 나의 가장 큰 동지"라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했다.
아울러 "너는 큰 인물이 돼 수많은 어려운 사람들을 도울 것"이라며 끊임없이자기최면을 걸었던 것이 결국 갖은 난관을 이겨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고 고백했다.
두 번째 강연자로 나선 신영철 강북삼성병원 교수(정신과 전문의)는 최근 군대에서 발생하는 동료·상하 간 갈등 문제를 언급하면서 "내가 편하지 않고 힘든 상황에 어떻게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겠는가? 우선 나부터 행복해져야 한다"는 처방을 내놨다.
이어 내가 행복하면서 남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스트레스에 성숙하게대처할 수 있는 '마음의 맷집'과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인의 감성'을 키우라고 장병들에게 조언했다.
abullapi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