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조사…도입 기업은 75%가 효과 거둬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인력난 해소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이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 대부분은 앞으로도도입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시간선택제 도입 기업 72개사를 대상으로 활용 효과를 물어본결과 75.0%가 피크타임 인력난 해소, 생산성 향상, 근로자 만족도 제고 등의 효과를거둔 것으로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기업은 25.0%에 그쳤다.
대기업(77.8%)과 중소기업(73.3%) 모두 시간선택제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79.2%)이 제조업(65.2%)보다 효과를 봤다.
시간선택제는 교육·육아 등 필요에 따라 근로자가 전일제(8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며 임금은 시간에 비례해 받고 최저임금·사회보험 등은 정규직과 동일하게 보장받는 일자리를 말한다.
정부는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도를 도입한 기업에 인건비의 50%를 1년간 지원하고 있다.
국내 시간제 근로자는 10.2%이지만 네덜란드(37.8%), 영국(24.9%), 일본(20.5%)등에서는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이유로는 피크타임 업무 분산(50.5%)을 가장 많이 꼽았고이어 장시간 근로 단축(19.4%), 신규 시간제직무 개발(10.7%), 고령층 숙련근로자활용(8.7%),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6.8%)을 들었다.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주당 근로시간은 25시간 미만(49.1%)이 가장 많았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향후 도입 의향을 묻자 25.4%만이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했고 74.6%는 '도입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하지 않겠다는 기업은 그 이유로 '적합한 직무를 찾기 어렵다'(43.7%)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업무연속성 저하 및 다른 업무와 협조 곤란'(35.5%), '근무체계 개선, 직무 재설계 등 노하우 부족'(8.6%) 등을 우려했다.
대한상의는 "2017년 이후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인력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기업이 시간선택제 도입을 본격적으로 고민할 때가 됐다"고 지적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인력난 해소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이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 대부분은 앞으로도도입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시간선택제 도입 기업 72개사를 대상으로 활용 효과를 물어본결과 75.0%가 피크타임 인력난 해소, 생산성 향상, 근로자 만족도 제고 등의 효과를거둔 것으로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기업은 25.0%에 그쳤다.
대기업(77.8%)과 중소기업(73.3%) 모두 시간선택제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79.2%)이 제조업(65.2%)보다 효과를 봤다.
시간선택제는 교육·육아 등 필요에 따라 근로자가 전일제(8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며 임금은 시간에 비례해 받고 최저임금·사회보험 등은 정규직과 동일하게 보장받는 일자리를 말한다.
정부는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도를 도입한 기업에 인건비의 50%를 1년간 지원하고 있다.
국내 시간제 근로자는 10.2%이지만 네덜란드(37.8%), 영국(24.9%), 일본(20.5%)등에서는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이유로는 피크타임 업무 분산(50.5%)을 가장 많이 꼽았고이어 장시간 근로 단축(19.4%), 신규 시간제직무 개발(10.7%), 고령층 숙련근로자활용(8.7%),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6.8%)을 들었다.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주당 근로시간은 25시간 미만(49.1%)이 가장 많았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향후 도입 의향을 묻자 25.4%만이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했고 74.6%는 '도입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하지 않겠다는 기업은 그 이유로 '적합한 직무를 찾기 어렵다'(43.7%)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업무연속성 저하 및 다른 업무와 협조 곤란'(35.5%), '근무체계 개선, 직무 재설계 등 노하우 부족'(8.6%) 등을 우려했다.
대한상의는 "2017년 이후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인력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기업이 시간선택제 도입을 본격적으로 고민할 때가 됐다"고 지적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