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단 15명 넘게 이동, 오너가 승진 없을 듯
삼성그룹이 이르면 12월 1일 계열사 사장단 인사를 단행한다.
이어 2∼3일 내 후속 임원(부사장·전무·상무) 인사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사업부 구조조정 등 조직개편도 사장단 또는 임원 인사와 병행한다.
삼성은 12월 5일로 잡힌 자랑스러운 삼성인상 시상식 이전에 연말 인사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 주 삼성 수요 사장단회의에는 새롭게 재편된 사장단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월 1일은 이건희 회장 취임 27주년이 되는 날이다. 삼성은 별도 행사나 기념식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 회장은 1987년 고 이병철 창업주가 별세한 직후 회장에추대됐다.
이 회장이 6개월 넘게 장기 입원해 있는 상황에서 이번 인사가 이재용 삼성전자부회장 체제에서 실행되는 첫 인력 개편 작업이다.
지난 6월 1일 자로 삼성전자 김기남 메모리사업부장을 반도체총괄 겸 시스템LSI사업부장으로 선임하는 원포인트 인사가 있었지만 대규모 인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 최근 4년간 사장단 인사 규모 16∼18명 30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의 사장단 인사 규모는 15명 이상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부회장(5명)을 포함한 삼성 사장단은 총 61명이지만, 오너 일가 부회장·사장 3명과 미래전략실 부회장·사장 3명을 제외한 계열사 사장단은 55명이다.
전체 4분의 1 이상이 승진 또는 자리 이동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4년간 사장단 인사 규모는 16∼18명으로 매년 승진은 6∼9명, 전보는 7∼9명 선이었다.
화학·방산부문 4개 계열사를 한화그룹에 매각하는 빅딜의 여파로 사장단 규모감축 변수가 생겼지만, 실사와 기업결합작업 이후 실제 매각이 내년 상반기 중 이뤄지기 때문에 이번 인사에서 당장 자리가 없어지지는 않는다.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의 합병 재추진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둔 인사도 이뤄질 수 있다.
올해 인사에서 오너가 승진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승진,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부회장 승진 가능성이 꾸준히 점쳐지기도 했지만, 이 회장이 와병 중인 상황이라 일단 승진을 보류한 것으로알려졌다.
오너가 삼남매는 2010년 3명 모두 승진했고 2012년 이 부회장 승진, 지난해 이서현 제일모직 패션사업부문 사장 승진으로 지난 4년간 2011년을 빼고는 매해 승진이 있었다.
부회장 승진자는 2009년부터 4년간 매년 두 명씩 나왔으나 지난해에는 없었다.
올해 다시 부회장 승진자가 나올지 관심이다.
최근 4년간 임원 인사 규모는 475∼501명이었다. 승진 연한을 뛰어넘는 발탁 인사는 지난해 85명이 최다였다.
올해도 임원 인사 규모는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등 주력 계열사들이 본격적으로 실적 하강 국면에 접어들었기 때문에발탁 인사 규모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삼성전자 조직개편…신종균 사장 거취 관심 주력인 삼성전자는 차세대 아이템 발굴 등 미래 사업을 위해 어떤 형태로든 사업부 조직개편이 진행될 전망이다.
지난해 3월 세팅된 CE(소비자가전), IM(IT모바일), DS(부품) 3대 부문을 완제품세트(CE·IM)와 부품 두 부문으로 통합하는 방안이 일각에서 거론됐으나 3대 체제를통째로 흔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개별 사업부가 수조 원 단위 실적을 거두는 대규모 조직인데다 세트-부품으로 이뤄진 대사업부 체제가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오래전부터 있었기때문이다.
대신 사업부 내에서 사물인터넷(IoT), 기업 간 거래(B2B)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 재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조직개편과 맞물려 스마트폰 사업을 진두지휘해온 신종균 IM부문 사장의 거취에가장 관심이 쏠린다.
신 사장은 지난 27일 이 부회장과 일본 출장길에 동행해 주목을 받았다.
삼성 내부에서는 신 사장의 역할이 조정될 수는 있어도 이선으로 물러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최근 경영진단을 받은 계열사들에 대한 인사가 어떻게 이뤄질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올 상반기에 상당한 규모로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한 금융계열사 사장단의 거취도 지켜볼 일이다.
그룹 안팎에서는 성과주의 원칙에 따라 대규모 문책성 물갈이 인사가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는가 하면, 과도기인 이재용 부회장 체제에서 조직 안정을 꾀하기위해 사장단 인사 폭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삼성그룹이 이르면 12월 1일 계열사 사장단 인사를 단행한다.
이어 2∼3일 내 후속 임원(부사장·전무·상무) 인사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사업부 구조조정 등 조직개편도 사장단 또는 임원 인사와 병행한다.
삼성은 12월 5일로 잡힌 자랑스러운 삼성인상 시상식 이전에 연말 인사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 주 삼성 수요 사장단회의에는 새롭게 재편된 사장단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월 1일은 이건희 회장 취임 27주년이 되는 날이다. 삼성은 별도 행사나 기념식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 회장은 1987년 고 이병철 창업주가 별세한 직후 회장에추대됐다.
이 회장이 6개월 넘게 장기 입원해 있는 상황에서 이번 인사가 이재용 삼성전자부회장 체제에서 실행되는 첫 인력 개편 작업이다.
지난 6월 1일 자로 삼성전자 김기남 메모리사업부장을 반도체총괄 겸 시스템LSI사업부장으로 선임하는 원포인트 인사가 있었지만 대규모 인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 최근 4년간 사장단 인사 규모 16∼18명 30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의 사장단 인사 규모는 15명 이상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부회장(5명)을 포함한 삼성 사장단은 총 61명이지만, 오너 일가 부회장·사장 3명과 미래전략실 부회장·사장 3명을 제외한 계열사 사장단은 55명이다.
전체 4분의 1 이상이 승진 또는 자리 이동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4년간 사장단 인사 규모는 16∼18명으로 매년 승진은 6∼9명, 전보는 7∼9명 선이었다.
화학·방산부문 4개 계열사를 한화그룹에 매각하는 빅딜의 여파로 사장단 규모감축 변수가 생겼지만, 실사와 기업결합작업 이후 실제 매각이 내년 상반기 중 이뤄지기 때문에 이번 인사에서 당장 자리가 없어지지는 않는다.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의 합병 재추진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둔 인사도 이뤄질 수 있다.
올해 인사에서 오너가 승진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승진,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부회장 승진 가능성이 꾸준히 점쳐지기도 했지만, 이 회장이 와병 중인 상황이라 일단 승진을 보류한 것으로알려졌다.
오너가 삼남매는 2010년 3명 모두 승진했고 2012년 이 부회장 승진, 지난해 이서현 제일모직 패션사업부문 사장 승진으로 지난 4년간 2011년을 빼고는 매해 승진이 있었다.
부회장 승진자는 2009년부터 4년간 매년 두 명씩 나왔으나 지난해에는 없었다.
올해 다시 부회장 승진자가 나올지 관심이다.
최근 4년간 임원 인사 규모는 475∼501명이었다. 승진 연한을 뛰어넘는 발탁 인사는 지난해 85명이 최다였다.
올해도 임원 인사 규모는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등 주력 계열사들이 본격적으로 실적 하강 국면에 접어들었기 때문에발탁 인사 규모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삼성전자 조직개편…신종균 사장 거취 관심 주력인 삼성전자는 차세대 아이템 발굴 등 미래 사업을 위해 어떤 형태로든 사업부 조직개편이 진행될 전망이다.
지난해 3월 세팅된 CE(소비자가전), IM(IT모바일), DS(부품) 3대 부문을 완제품세트(CE·IM)와 부품 두 부문으로 통합하는 방안이 일각에서 거론됐으나 3대 체제를통째로 흔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개별 사업부가 수조 원 단위 실적을 거두는 대규모 조직인데다 세트-부품으로 이뤄진 대사업부 체제가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오래전부터 있었기때문이다.
대신 사업부 내에서 사물인터넷(IoT), 기업 간 거래(B2B)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 재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조직개편과 맞물려 스마트폰 사업을 진두지휘해온 신종균 IM부문 사장의 거취에가장 관심이 쏠린다.
신 사장은 지난 27일 이 부회장과 일본 출장길에 동행해 주목을 받았다.
삼성 내부에서는 신 사장의 역할이 조정될 수는 있어도 이선으로 물러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최근 경영진단을 받은 계열사들에 대한 인사가 어떻게 이뤄질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올 상반기에 상당한 규모로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한 금융계열사 사장단의 거취도 지켜볼 일이다.
그룹 안팎에서는 성과주의 원칙에 따라 대규모 문책성 물갈이 인사가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는가 하면, 과도기인 이재용 부회장 체제에서 조직 안정을 꾀하기위해 사장단 인사 폭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