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 공백 우려 최소화 차원…금명간 비상경영조치 발표
대우조선해양[042660]이 새로운 사장이 선임될때까지 고재호 현 사장의 대표이사로서의 권한을 유지키로 결정했다.
대우조선해양은 16일 정기 이사회를 열어 차기 사장 선임 전까지 고재호 사장이상법상 대표이사로서의 권한과 책임을 변동 없이 행사하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은 금명간 비상경영조치를 발표해 자회사를 포함한 정기임원인사와 조직개편 등을 단행하고 올해 사업계획 등도 확정할 계획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날 정기이사회를 후임 사장 인선안을 상정하지 않은채 사외이사 선임안 등 기타 안건만으로 진행해 수장 공백이 현실화될 거라는 우려가 제기되자 이를 불식하기 위해 차기 사장 선임까지 고재호 사장의 권한을 유지시킨다는 고육책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오는 31일로 예정된 대우조선해양의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장이 결정되기 위해서는 상법상 주총 2주 전인 이날까지 이사회를 개최해 후임 사장 안건을 확정, 공시해야 해 주총에서 새 사장을 선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당초 업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15일까지 사장추천위원회(사추위)를 열어이달 말로 임기가 만료되는 고재호 현 사장과 박동혁 부사장 등 대우조선해양 현 경영진을 후보로 올린 뒤 이날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측이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측으로부터 후보와 관련된 아무런언질도 받지 못해 사추위도 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은 이에 따라 우려했던 수장 공백이 현실화됐다고 보고이날부터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과 을지로 대우조선해양 본사 앞에서 조속한 사장 선임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산업은행 등에 대한 대응 수위를 높여갈 방침이었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지난주 기자회견을 열어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는임기 만료 2개월 전에는 선임되는 게 관례지만 사장 선임이 표류하며 내부 경영이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며 "산업은행은 정부의 눈치를 보지 말고 이른 시일 내로대표이사를 선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대우조선해양 지분 31.5%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대표이사 선임 결정권을쥔 산업은행이 정부의 눈치를 보며 인선을 미루고 있어 임원인사를 비롯한 올해 사업계획이 표류하고, 글로벌 경쟁사와의 수주 경쟁이 타격을 입고 있다고 주장하고있다.
노조는 해외 선주와의 관계와 산적한 현안 등을 고려하면 고재호 현 사장의 연임이 회사 미래를 위해 최선이라고 여기고 있으나 최소한 정치권 등의 낙하산이 아닌 내부 인사가 사장에 선임되면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ykhyun14@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대우조선해양[042660]이 새로운 사장이 선임될때까지 고재호 현 사장의 대표이사로서의 권한을 유지키로 결정했다.
대우조선해양은 16일 정기 이사회를 열어 차기 사장 선임 전까지 고재호 사장이상법상 대표이사로서의 권한과 책임을 변동 없이 행사하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은 금명간 비상경영조치를 발표해 자회사를 포함한 정기임원인사와 조직개편 등을 단행하고 올해 사업계획 등도 확정할 계획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날 정기이사회를 후임 사장 인선안을 상정하지 않은채 사외이사 선임안 등 기타 안건만으로 진행해 수장 공백이 현실화될 거라는 우려가 제기되자 이를 불식하기 위해 차기 사장 선임까지 고재호 사장의 권한을 유지시킨다는 고육책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오는 31일로 예정된 대우조선해양의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장이 결정되기 위해서는 상법상 주총 2주 전인 이날까지 이사회를 개최해 후임 사장 안건을 확정, 공시해야 해 주총에서 새 사장을 선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당초 업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15일까지 사장추천위원회(사추위)를 열어이달 말로 임기가 만료되는 고재호 현 사장과 박동혁 부사장 등 대우조선해양 현 경영진을 후보로 올린 뒤 이날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측이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측으로부터 후보와 관련된 아무런언질도 받지 못해 사추위도 열리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은 이에 따라 우려했던 수장 공백이 현실화됐다고 보고이날부터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과 을지로 대우조선해양 본사 앞에서 조속한 사장 선임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산업은행 등에 대한 대응 수위를 높여갈 방침이었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지난주 기자회견을 열어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는임기 만료 2개월 전에는 선임되는 게 관례지만 사장 선임이 표류하며 내부 경영이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며 "산업은행은 정부의 눈치를 보지 말고 이른 시일 내로대표이사를 선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대우조선해양 지분 31.5%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대표이사 선임 결정권을쥔 산업은행이 정부의 눈치를 보며 인선을 미루고 있어 임원인사를 비롯한 올해 사업계획이 표류하고, 글로벌 경쟁사와의 수주 경쟁이 타격을 입고 있다고 주장하고있다.
노조는 해외 선주와의 관계와 산적한 현안 등을 고려하면 고재호 현 사장의 연임이 회사 미래를 위해 최선이라고 여기고 있으나 최소한 정치권 등의 낙하산이 아닌 내부 인사가 사장에 선임되면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ykhyun14@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