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핵협상 타결 대응 세미나…기업인 500명 몰려
이란 핵협상 타결에 따른 경제제재 해제와 앞으로전망을 짚어본 경제단체 세미나에 기업인 500여 명이 몰려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전통적인 중동 특수 부문인 건설·플랜트·자원개발 외에 소비재·자동차 분야등에도 이란 진출의 길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법무법인 율촌과 공동으로 8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상의회관에서 '이란 경제제재 해제 전망과 국내기업의 대응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상의의 '이란 관련 세미나'는 이번이 9번째다. 2010년 미국의 포괄적 이란 제재법이 통과된 이후 지속적으로 업계 대응 방안을 논의해 왔다.
지난 2일 미국 등 주요 6개국과 이란이 핵협상을 잠정 타결한 이후 우리 기업이어떻게 대응해야 할지가 단연 세미나의 화두였다.
율촌의 신동찬 변호사는 "올해 6월 30일까지 최종 타결이 되면 우리 정부도 그에 맞춰 이란 제재를 해제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제재가 해제되면 국내 기업들은초기에는 건설·플랜트·자원개발 분야의 기회가 많은 가운데 이란의 경제회복이 정상 궤도에 오르면 소비재 분야와 자동차 등의 산업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점쳤다.
신 변호사는 이어 "2일 합의한 내용은 올해 6월 30일까지 최종 합의안에 들어갈주요 내용에 관한 것"이라며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도 기존 제재를 유지할 것이라고 천명한 만큼 기존 제재는 상반기까지는 계속 적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란은 6월 타결 때 즉시 모든 분야의 제재 해제를 요구하지만, 미국 등은 단계적 해제를 주장해 해제 범위와 속도에 합의가 필요하다"며 "금융·경제분야제재가 우선 해제된 후 핵·군사분야 제재가 순차적으로 해제될 것 같다"고 관측했다.
이근욱 서강대 교수는 이번 핵협상 타결의 성격에 대해 "현재는 최종 합의문서가 없어 정치적 성격을 가진 일종의 프레임워크"라며 "6월 30일은 합의를 위한 시한인 만큼 아직 선결 과제가 적지 않다"고 해석했다.
이 교수는 "2∼3개월 소요되는 핵무기 개발 시간을 12개월로 늘리는 것이 미국의 목표"라며 "핵 사찰에 대한 규정, 경제 제재 해제 시점, 범위 등에 이견이 있는만큼 합의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란 핵협상 타결에 따른 경제제재 해제와 앞으로전망을 짚어본 경제단체 세미나에 기업인 500여 명이 몰려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전통적인 중동 특수 부문인 건설·플랜트·자원개발 외에 소비재·자동차 분야등에도 이란 진출의 길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법무법인 율촌과 공동으로 8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상의회관에서 '이란 경제제재 해제 전망과 국내기업의 대응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상의의 '이란 관련 세미나'는 이번이 9번째다. 2010년 미국의 포괄적 이란 제재법이 통과된 이후 지속적으로 업계 대응 방안을 논의해 왔다.
지난 2일 미국 등 주요 6개국과 이란이 핵협상을 잠정 타결한 이후 우리 기업이어떻게 대응해야 할지가 단연 세미나의 화두였다.
율촌의 신동찬 변호사는 "올해 6월 30일까지 최종 타결이 되면 우리 정부도 그에 맞춰 이란 제재를 해제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제재가 해제되면 국내 기업들은초기에는 건설·플랜트·자원개발 분야의 기회가 많은 가운데 이란의 경제회복이 정상 궤도에 오르면 소비재 분야와 자동차 등의 산업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점쳤다.
신 변호사는 이어 "2일 합의한 내용은 올해 6월 30일까지 최종 합의안에 들어갈주요 내용에 관한 것"이라며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도 기존 제재를 유지할 것이라고 천명한 만큼 기존 제재는 상반기까지는 계속 적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란은 6월 타결 때 즉시 모든 분야의 제재 해제를 요구하지만, 미국 등은 단계적 해제를 주장해 해제 범위와 속도에 합의가 필요하다"며 "금융·경제분야제재가 우선 해제된 후 핵·군사분야 제재가 순차적으로 해제될 것 같다"고 관측했다.
이근욱 서강대 교수는 이번 핵협상 타결의 성격에 대해 "현재는 최종 합의문서가 없어 정치적 성격을 가진 일종의 프레임워크"라며 "6월 30일은 합의를 위한 시한인 만큼 아직 선결 과제가 적지 않다"고 해석했다.
이 교수는 "2∼3개월 소요되는 핵무기 개발 시간을 12개월로 늘리는 것이 미국의 목표"라며 "핵 사찰에 대한 규정, 경제 제재 해제 시점, 범위 등에 이견이 있는만큼 합의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