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건희장학재단'을 모태로 한 비영리재단'삼성꿈장학재단'이 국세청 세무조사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서울지방국세청은 전날부터 40일 일정으로 삼성꿈장학재단을 상대로 세무조사를 진행중이다.
재단에 대한 세무조사는 2002년 7월 '삼성이건희장학재단'으로 첫발을 뗀 이후13년 만에 처음이다. 비영리기관인 재단에 대한 첫 세무조사라는 점에서 이례적인일로 재계에서는 보고 있다.
재단 측은 "비영리기관도 주기적으로 세무조사를 받도록 돼 있는데 시기가 돼서하는 정기적인 조사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재단은 소외계층 초·중·고교 학생을 지원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민간 장학재단이다. 1년 예산은 300억원 안팎에 이른다.
재단은 과거 삼성이 에버랜드 편법증여 논란 등에 휩싸인 뒤 사회에 헌납한 삼성이건희장학재단 기금 4천500억원과 추가로 조성된 3천500억원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2006년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으로 이름을 바꾼 이후 2010년 삼성꿈장학재단으로다시 개명했다.
기부금에는 이 회장 자녀의 삼성에버랜드 지분 8.37%를 포함, SDS 등 삼성 비상장 주식이 상당수 포함됐다.
직원 10여명 규모인 재단의 사무총장은 삼성생명 자회사인 STS커뮤니케이션의우진중 전 경영지원실장이 맡고 있으며 삼성생명 직원 2명이 파견 형식으로 근무하고 있다.
noma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1일 재계에 따르면 서울지방국세청은 전날부터 40일 일정으로 삼성꿈장학재단을 상대로 세무조사를 진행중이다.
재단에 대한 세무조사는 2002년 7월 '삼성이건희장학재단'으로 첫발을 뗀 이후13년 만에 처음이다. 비영리기관인 재단에 대한 첫 세무조사라는 점에서 이례적인일로 재계에서는 보고 있다.
재단 측은 "비영리기관도 주기적으로 세무조사를 받도록 돼 있는데 시기가 돼서하는 정기적인 조사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재단은 소외계층 초·중·고교 학생을 지원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민간 장학재단이다. 1년 예산은 300억원 안팎에 이른다.
재단은 과거 삼성이 에버랜드 편법증여 논란 등에 휩싸인 뒤 사회에 헌납한 삼성이건희장학재단 기금 4천500억원과 추가로 조성된 3천500억원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2006년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으로 이름을 바꾼 이후 2010년 삼성꿈장학재단으로다시 개명했다.
기부금에는 이 회장 자녀의 삼성에버랜드 지분 8.37%를 포함, SDS 등 삼성 비상장 주식이 상당수 포함됐다.
직원 10여명 규모인 재단의 사무총장은 삼성생명 자회사인 STS커뮤니케이션의우진중 전 경영지원실장이 맡고 있으며 삼성생명 직원 2명이 파견 형식으로 근무하고 있다.
noma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