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야근을 했더니 멍하다. 정신 차리려고 커피한잔 마시는데 팀장이 마케팅팀 회의엘 가잔다. 의미 없이 앉아있다 나와서는 부랴부랴 어제 못 마친 전무님 보고 준비를 시작했다. 어느새 오전이 가고 드디어 전무님 보고시간. 얼마나 깨질까 했더니 아니나 다를까 '이게 아니잖아'라는 불호령과함께 보고서 방향이 통째 뒤틀렸다. 오후에 외근 다녀오니 벌써 퇴근시간…이제 또야근인가." 대기업에 다니는 김 대리는 주 5일 야근을 한다. 하지만 업무 생산성은 평균에미치지 못하고 있다.
15일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가 8개 기업 직원 45명의 일과를 관찰한 결과에따르면 상습적으로 야근하는 김 대리는 하루 평균 11시간30분 근무했다. 다른 직원평균은 9시간50분이다.
그렇다면 생산성은 어떨까.
김 대리는 업무 생산성이 45%에 그쳐 다른 직원들 평균(57%)보다 낮았다.
실제 생산적인 업무 시간도 김 대리(11시간30분×45%=5시간11분)보다 다른 직원평균(9시간50분×57%=5시간36분)이 25분 더 길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야근을 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지는 야근의 역설"이라고분석했다.
야근문화의 근본 원인은 비과학적 업무 프로세스와 상명하복의 불통문화가 지목됐다.
대한상의는 "실제 조사에서는 퇴근 전 갑작스러운 업무 지시나 불명확한 업무분장으로 한 사람에게 일이 몰리는 경우 업무지시 과정에서 배경이나 취지에 대한소통이 부족해 일이 몇 곱절 늘어나 야근하는 사례가 수시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15일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가 8개 기업 직원 45명의 일과를 관찰한 결과에따르면 상습적으로 야근하는 김 대리는 하루 평균 11시간30분 근무했다. 다른 직원평균은 9시간50분이다.
그렇다면 생산성은 어떨까.
김 대리는 업무 생산성이 45%에 그쳐 다른 직원들 평균(57%)보다 낮았다.
실제 생산적인 업무 시간도 김 대리(11시간30분×45%=5시간11분)보다 다른 직원평균(9시간50분×57%=5시간36분)이 25분 더 길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야근을 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지는 야근의 역설"이라고분석했다.
야근문화의 근본 원인은 비과학적 업무 프로세스와 상명하복의 불통문화가 지목됐다.
대한상의는 "실제 조사에서는 퇴근 전 갑작스러운 업무 지시나 불명확한 업무분장으로 한 사람에게 일이 몰리는 경우 업무지시 과정에서 배경이나 취지에 대한소통이 부족해 일이 몇 곱절 늘어나 야근하는 사례가 수시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