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2020년 우리나라 항공부품 수출 45억달러로 확대"
미국 항공기 제작사 보잉이 삼성SDI[006400] 등국내 업체의 첨단소재 부품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는 국내 업체가 보잉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해 2020년 우리나라의항공부품 수출액을 45억 달러 수준으로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국내 소재부품업체와 미국 보잉사간 항공기 사업 협력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미팅을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비즈니스 미팅은 보잉에 국내 항공부품을 공급·조달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효성[004800], 삼성SDI, LG전자[066570], 한화탈레스 등 국내 소재부품 20개사 및보잉 관계자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효성과 삼성SDI 등 미팅에 참석한 국내 업체는 보잉이 사업협력에 관심을 둔 기업"이라며 "이번 미팅을 통해 국내 소재부품 기업이 항공 분야를 선도하는 보잉의 차세대 항공기 개발과정에 참여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할 수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보잉은 최근 항공기 부품조달 경로를 다변화하기 위해 탄소섬유, 철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자 등의 분야에서 국내 업체와의 협력을 타진하고 있다.
협력 관계가 가시화될 경우 전자, 석유화학 등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보이는 산업을 항공산업에 접목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잉과 효성 등은 지난 3월 탄소섬유복합재 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회의를개최한 바 있다. 탄소섬유복합재는 보잉 787 등 차세대 항공기의 동체 재질이다.
한국산업평가관리원(KEIT)은 이 같은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보잉과 협력양해각서(MOU)를 이날 체결했다.
보잉은 양해각서에 따라 항공소재부품 개발에 필요한 기술 지원을 한다. KEIT또한 기술개발 과제를 발굴하거나 지원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항공부품 역량 및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 지난해 18억 달러 수준인 항공 부품 수출을 2020년 45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항공업계와 국내 소재부품 기업이 지속 가능한 중장기적 파트너로서 협력할 수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iamle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미국 항공기 제작사 보잉이 삼성SDI[006400] 등국내 업체의 첨단소재 부품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는 국내 업체가 보잉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해 2020년 우리나라의항공부품 수출액을 45억 달러 수준으로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국내 소재부품업체와 미국 보잉사간 항공기 사업 협력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미팅을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비즈니스 미팅은 보잉에 국내 항공부품을 공급·조달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효성[004800], 삼성SDI, LG전자[066570], 한화탈레스 등 국내 소재부품 20개사 및보잉 관계자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효성과 삼성SDI 등 미팅에 참석한 국내 업체는 보잉이 사업협력에 관심을 둔 기업"이라며 "이번 미팅을 통해 국내 소재부품 기업이 항공 분야를 선도하는 보잉의 차세대 항공기 개발과정에 참여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할 수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보잉은 최근 항공기 부품조달 경로를 다변화하기 위해 탄소섬유, 철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자 등의 분야에서 국내 업체와의 협력을 타진하고 있다.
협력 관계가 가시화될 경우 전자, 석유화학 등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보이는 산업을 항공산업에 접목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잉과 효성 등은 지난 3월 탄소섬유복합재 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회의를개최한 바 있다. 탄소섬유복합재는 보잉 787 등 차세대 항공기의 동체 재질이다.
한국산업평가관리원(KEIT)은 이 같은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보잉과 협력양해각서(MOU)를 이날 체결했다.
보잉은 양해각서에 따라 항공소재부품 개발에 필요한 기술 지원을 한다. KEIT또한 기술개발 과제를 발굴하거나 지원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항공부품 역량 및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 지난해 18억 달러 수준인 항공 부품 수출을 2020년 45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항공업계와 국내 소재부품 기업이 지속 가능한 중장기적 파트너로서 협력할 수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iamle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