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의 사내외 사보였던 '삼성앤유'가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21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온라인 격주간지로 발행돼온 삼성앤유가 이달 16일자(73호)를 끝으로 더 이상 발행되지 않는다.
삼성앤유 사이트(www.samsungnyou.com)의 운영이 중단되는 것이다.
삼성앤유는 2009년 7월 사내보였던 '삼성저널'과 사외보 '함께하는 사회'를 통합한 격월간 종이 사보로 출발했다. 그러다 매체 환경의 변화 등에 맞춰 지난해 1월부터는 격주간 온라인 웹진으로 전환했는데 그마저도 발행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다만 삼성그룹의 사보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이미 발행된 삼성앤유의'PDF 다운로드'는 그룹 홈페이지로 이관되고, 앞으로도 새로운 사보 콘텐츠는 그룹블로그·홈페이지에서 계속 새롭게 발행된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기업의 홍보 수단이 사보 등 오프라인 매체에서 블로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맞춘 결정"이라며"홈페이지와 블로그, 미디어삼성 등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내외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김영란법 시행과 삼성앤유 발행 중단 결정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덧붙였다.
sisyph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1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온라인 격주간지로 발행돼온 삼성앤유가 이달 16일자(73호)를 끝으로 더 이상 발행되지 않는다.
삼성앤유 사이트(www.samsungnyou.com)의 운영이 중단되는 것이다.
삼성앤유는 2009년 7월 사내보였던 '삼성저널'과 사외보 '함께하는 사회'를 통합한 격월간 종이 사보로 출발했다. 그러다 매체 환경의 변화 등에 맞춰 지난해 1월부터는 격주간 온라인 웹진으로 전환했는데 그마저도 발행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다만 삼성그룹의 사보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이미 발행된 삼성앤유의'PDF 다운로드'는 그룹 홈페이지로 이관되고, 앞으로도 새로운 사보 콘텐츠는 그룹블로그·홈페이지에서 계속 새롭게 발행된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기업의 홍보 수단이 사보 등 오프라인 매체에서 블로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맞춘 결정"이라며"홈페이지와 블로그, 미디어삼성 등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내외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김영란법 시행과 삼성앤유 발행 중단 결정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덧붙였다.
sisyph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