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280곳 인수·거래금액 58조…작년부터 인수 열풍 다시 불붙어해외기업 M&A 건수는 국내기업 10분의 1…삼성 하만 인수 이후 관심 집중
국내 30대 그룹이 지난 2010년 이후 7년간 국내외에서 경영권을 넘겨받는 인수합병(M&A)을 총 280건 성사시켰으며, M&A 거래 금액이58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삼성전자의 세계 최대 전장(電裝) 기업 하만(HARMAN) 인수로 M&A 시장에대한 관심이 증폭된 가운데, 30대 그룹 중 가장 적극적으로 M&A에 나선 기업은 삼성과 롯데인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이 11조3천억원대, 롯데가 9조7천억원대 규모로 각각 M&A를 이뤄내 '기업사냥'을 주도했다. M&A 건수로는 46개사를 인수한 CJ가 가장 활발했다.
20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010년부터 2016년 11월 현재까지 30대 그룹의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건수로는 280건, 인수 금액은 57조9천13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해외기업을 대상으로 한 M&A는 25건, 16조8천246억원으로 건수는 전체의 10분의 1에도 못 미쳤지만 금액은 거의 30%를 점했다. 삼성의 하만 인수(9조3천억원)라는 '메가 빅딜'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M&A를 통해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하고 사업보고서상으로 인수 금액이 확인된 사례만 포함했다. 하만처럼 인수 예정 기업도 집계에 넣었다.
삼성은 11조3천816억원(21건)으로 30대 그룹 전체 M&A 금액 중 5분의 1 정도를차지했다. 특히 21건 중 해외기업 대상 M&A가 7건으로 3분의 1에 달했다.
하만 외에도 메모리 반도체 기업 그란디스, 클라우드 콘텐츠 업체 엠스팟,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소프트웨어 업체 엔벨로,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조이언트등 주로 실리콘밸리의 기술력 있는 기업들을 타깃으로 삼았다.
롯데의 M&A 실적은 지난 7년간 28건, 9조7천583억원에 달했다.
국내에서 삼성정밀화학·삼성BP화학 등을 사들이는 빅딜에 이어 KT렌탈, 하이마트 등 시장의 굵직한 매물을 사들였다. 해외에서는 화학업체 타이탄 등 B2B(기업간거래) 기업도 인수했고, 더뉴욕팰리스호텔 등 전통적인 강세업종인 관광레저부문 M&A에도 관심을 쏟았다.
현대차그룹은 5건, 5조5천589억원으로 건수 자체는 작았지만 덩치가 큰 국내 기업을 M&A의 주요 목표물로 삼았다. 현대건설, 현대종합특수강, 만도신소재 등이다.
SK그룹은 19건, 5조757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2012년, 3조3천747억원) 외에 메가딜은 없었지만 텔스크(IT서비스), 동양매직(가전), 당진에코파워(발전)등 다양한 부문의 기업을 사들였다.
포스코가 4조8천999억원(10건)으로 'M&A 큰손 빅5'에 들어갔다. 대우인터내셔널을 계열 편입시킨 것이 상당한 비중을 점했고 에너지, 소재 분야로 외연을 넓혔다.
CJ는 M&A 금액의 경우 6위(4조1천23억원)에 그쳤지만 건수(46건)는 단연 30대 그룹 중 최다였다. 최다 2위인 롯데(28건)보다 22건이나 많았다.
CJ는 2015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5~10건씩 꾸준히 M&A에 나서면서 사업부문을 다변화했다. 주로 케이블 방송사업과 미디어, 콘텐츠 영역이 많았고 '본업'인 식품기업 인수도 이어졌다.
한화(11건, 3조5천732억원)는 한화큐셀 등 태양광 기업 인수가 눈에 띄었다. 테크윈, 디펜스 등 방산부문과 종합화학 등 석유화학부문은 삼성에서 빅딜로 4개사를새 식구로 맞아들였고 증권·자산운용 등 금융 쪽 지분투자도 꽤 있었다.
현대중공업(5건, 3조871억원)은 톱 10에 이름을 올렸지만 2010년 현대오일뱅크인수 이후에는 이렇다 할 M&A 실적이 없었다.
대우증권을 인수한 미래에셋(4건, 2조6천345억원)도 금액 순위로는 10위권 안에들었다.
LG그룹은 25개사를 인수했지만 큰 거래가 없어 금액은 2조2천788억원(10위)에그쳤다.
삼성과 마찬가지로 실리콘웍스(시스템설계), 원신스카이텍(무인헬기시스템) 등기술기업에 관심이 많았다. 동부에서 팜한농을 사들여 계열사인 LG화학과의 시너지를 노린 것이 최근 눈길이 가는 M&A 행보였다.
신세계(14건, 1조8천710억원)는 2012년 센트럴시티를 인수하는 등 유통채널 확장용 부지를 위한 부동산 투자가 많았다. 올해 문을 연 하남 스타필드를 준비하는과정에서도 부동산 개발업체 등에 대한 M&A가 선행됐다.
GS(16건, 1조1천755억원)는 석유제품 판매, 화학 부문, 화력발전 부문에서 사업을 확장하면서 M&A를 시도했다.
30대 그룹 중 모두 12개 그룹이 지난 7년간 국내외 크고 작은 M&A에 각각 1조원이상의 돈을 썼다.
그다음 현대백화점그룹(10건, 6천251억원)은 패션·의류, 식품, 가구, 물류 등다양한 부문에서 기업 인수와 지분투자를 했다.
10위권 밖 순위는 현대백화점에 이어 KT, 금호아시아나, 부영, 효성, 대림, LS,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두산, 한진, 영풍, OCI, KCC 순이었다.
두산과 한진은 재계순위 10위권 안팎이지만 최근 M&A 실적이 매우 적어 하위권으로 분류됐다. 그나마 2014년 이후로는 보기 드물었다.
국내기업 M&A만 따졌을 때 연도별 M&A 건수는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벗어난 직후인 2010년에 52건으로 가장 많았고 2011년(48건), 2012년(39건), 2013년(31건), 2014년(29건)으로 갈수록 줄어들다가 2015년(32건)에 다시 늘었다. 올해는 11월까지 24건을 기록 중이다.
<표> 30대 그룹 M&A 현황 [자료:CEO스코어]┌─┬──────┬─────────────────┐│재│그룹집단 │2010~2016.11 합계 ││계│ ├──────┬──────────┤│순│ │건수 │ 금액(단위:백만원) ││위│ │ │ │├─┼──────┼──────┼──────────┤│1 │삼성 │ 21 │ 11,381,691 │├─┼──────┼──────┼──────────┤│5 │롯데 │ 28 │ 9,758,305 │├─┼──────┼──────┼──────────┤│2 │현대자동차 │ 5 │ 5,558,930 │├─┼──────┼──────┼──────────┤│3 │SK │ 19 │ 5,075,738 │├─┼──────┼──────┼──────────┤│6 │포스코 │ 10 │ 4,899,924 │├─┼──────┼──────┼──────────┤│14│CJ │ 46 │ 4,102,373 │├─┼──────┼──────┼──────────┤│8 │한화 │ 11 │ 3,573,267 │├─┼──────┼──────┼──────────┤│9 │현대중공업 │ 5 │ 3,087,189 │├─┼──────┼──────┼──────────┤│23│미래에셋 │ 4 │ 2,634,545 │├─┼──────┼──────┼──────────┤│4 │LG │ 25 │ 2,278,869 │├─┼──────┼──────┼──────────┤│13│신세계 │ 14 │ 1,871,041 │├─┼──────┼──────┼──────────┤│7 │GS │ 16 │ 1,175,562 │├─┼──────┼──────┼──────────┤│20│현대백화점 │ 10 │ 625,134 │├─┼──────┼──────┼──────────┤│12│KT │ 14 │ 531,045 │├─┼──────┼──────┼──────────┤│19│금호아시아나│ 8 │ 487,379 │├─┼──────┼──────┼──────────┤│15│부영 │ 4 │ 340,199 │├─┼──────┼──────┼──────────┤│22│효성 │ 8 │ 225,737 │├─┼──────┼──────┼──────────┤│18│대림 │ 8 │ 118,624 │├─┼──────┼──────┼──────────┤│16│LS │ 9 │ 79,234 │├─┼──────┼──────┼──────────┤│25│대우건설 │ 4 │ 38,477 │├─┼──────┼──────┼──────────┤│17│대우조선해양│ 5 │ 33,984 │├─┼──────┼──────┼──────────┤│11│두산 │ 1 │ 23,330 │├─┼──────┼──────┼──────────┤│10│한진 │ 1 │ 11,773 │├─┼──────┼──────┼──────────┤│26│영풍 │ 2 │ 1,070 │├─┼──────┼──────┼──────────┤│21│OCI │ 1 │ 132 │├─┼──────┼──────┼──────────┤│28│KCC │ 1 │ 32 │├─┴──────┼──────┼──────────┤│합계 │ 280 │ 57,913,584 │└────────┴──────┴──────────┘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내 30대 그룹이 지난 2010년 이후 7년간 국내외에서 경영권을 넘겨받는 인수합병(M&A)을 총 280건 성사시켰으며, M&A 거래 금액이58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삼성전자의 세계 최대 전장(電裝) 기업 하만(HARMAN) 인수로 M&A 시장에대한 관심이 증폭된 가운데, 30대 그룹 중 가장 적극적으로 M&A에 나선 기업은 삼성과 롯데인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이 11조3천억원대, 롯데가 9조7천억원대 규모로 각각 M&A를 이뤄내 '기업사냥'을 주도했다. M&A 건수로는 46개사를 인수한 CJ가 가장 활발했다.
20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010년부터 2016년 11월 현재까지 30대 그룹의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건수로는 280건, 인수 금액은 57조9천13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해외기업을 대상으로 한 M&A는 25건, 16조8천246억원으로 건수는 전체의 10분의 1에도 못 미쳤지만 금액은 거의 30%를 점했다. 삼성의 하만 인수(9조3천억원)라는 '메가 빅딜'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M&A를 통해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하고 사업보고서상으로 인수 금액이 확인된 사례만 포함했다. 하만처럼 인수 예정 기업도 집계에 넣었다.
삼성은 11조3천816억원(21건)으로 30대 그룹 전체 M&A 금액 중 5분의 1 정도를차지했다. 특히 21건 중 해외기업 대상 M&A가 7건으로 3분의 1에 달했다.
하만 외에도 메모리 반도체 기업 그란디스, 클라우드 콘텐츠 업체 엠스팟,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소프트웨어 업체 엔벨로,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조이언트등 주로 실리콘밸리의 기술력 있는 기업들을 타깃으로 삼았다.
롯데의 M&A 실적은 지난 7년간 28건, 9조7천583억원에 달했다.
국내에서 삼성정밀화학·삼성BP화학 등을 사들이는 빅딜에 이어 KT렌탈, 하이마트 등 시장의 굵직한 매물을 사들였다. 해외에서는 화학업체 타이탄 등 B2B(기업간거래) 기업도 인수했고, 더뉴욕팰리스호텔 등 전통적인 강세업종인 관광레저부문 M&A에도 관심을 쏟았다.
현대차그룹은 5건, 5조5천589억원으로 건수 자체는 작았지만 덩치가 큰 국내 기업을 M&A의 주요 목표물로 삼았다. 현대건설, 현대종합특수강, 만도신소재 등이다.
SK그룹은 19건, 5조757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2012년, 3조3천747억원) 외에 메가딜은 없었지만 텔스크(IT서비스), 동양매직(가전), 당진에코파워(발전)등 다양한 부문의 기업을 사들였다.
포스코가 4조8천999억원(10건)으로 'M&A 큰손 빅5'에 들어갔다. 대우인터내셔널을 계열 편입시킨 것이 상당한 비중을 점했고 에너지, 소재 분야로 외연을 넓혔다.
CJ는 M&A 금액의 경우 6위(4조1천23억원)에 그쳤지만 건수(46건)는 단연 30대 그룹 중 최다였다. 최다 2위인 롯데(28건)보다 22건이나 많았다.
CJ는 2015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5~10건씩 꾸준히 M&A에 나서면서 사업부문을 다변화했다. 주로 케이블 방송사업과 미디어, 콘텐츠 영역이 많았고 '본업'인 식품기업 인수도 이어졌다.
한화(11건, 3조5천732억원)는 한화큐셀 등 태양광 기업 인수가 눈에 띄었다. 테크윈, 디펜스 등 방산부문과 종합화학 등 석유화학부문은 삼성에서 빅딜로 4개사를새 식구로 맞아들였고 증권·자산운용 등 금융 쪽 지분투자도 꽤 있었다.
현대중공업(5건, 3조871억원)은 톱 10에 이름을 올렸지만 2010년 현대오일뱅크인수 이후에는 이렇다 할 M&A 실적이 없었다.
대우증권을 인수한 미래에셋(4건, 2조6천345억원)도 금액 순위로는 10위권 안에들었다.
LG그룹은 25개사를 인수했지만 큰 거래가 없어 금액은 2조2천788억원(10위)에그쳤다.
삼성과 마찬가지로 실리콘웍스(시스템설계), 원신스카이텍(무인헬기시스템) 등기술기업에 관심이 많았다. 동부에서 팜한농을 사들여 계열사인 LG화학과의 시너지를 노린 것이 최근 눈길이 가는 M&A 행보였다.
신세계(14건, 1조8천710억원)는 2012년 센트럴시티를 인수하는 등 유통채널 확장용 부지를 위한 부동산 투자가 많았다. 올해 문을 연 하남 스타필드를 준비하는과정에서도 부동산 개발업체 등에 대한 M&A가 선행됐다.
GS(16건, 1조1천755억원)는 석유제품 판매, 화학 부문, 화력발전 부문에서 사업을 확장하면서 M&A를 시도했다.
30대 그룹 중 모두 12개 그룹이 지난 7년간 국내외 크고 작은 M&A에 각각 1조원이상의 돈을 썼다.
그다음 현대백화점그룹(10건, 6천251억원)은 패션·의류, 식품, 가구, 물류 등다양한 부문에서 기업 인수와 지분투자를 했다.
10위권 밖 순위는 현대백화점에 이어 KT, 금호아시아나, 부영, 효성, 대림, LS,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두산, 한진, 영풍, OCI, KCC 순이었다.
두산과 한진은 재계순위 10위권 안팎이지만 최근 M&A 실적이 매우 적어 하위권으로 분류됐다. 그나마 2014년 이후로는 보기 드물었다.
국내기업 M&A만 따졌을 때 연도별 M&A 건수는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벗어난 직후인 2010년에 52건으로 가장 많았고 2011년(48건), 2012년(39건), 2013년(31건), 2014년(29건)으로 갈수록 줄어들다가 2015년(32건)에 다시 늘었다. 올해는 11월까지 24건을 기록 중이다.
<표> 30대 그룹 M&A 현황 [자료:CEO스코어]┌─┬──────┬─────────────────┐│재│그룹집단 │2010~2016.11 합계 ││계│ ├──────┬──────────┤│순│ │건수 │ 금액(단위:백만원) ││위│ │ │ │├─┼──────┼──────┼──────────┤│1 │삼성 │ 21 │ 11,381,691 │├─┼──────┼──────┼──────────┤│5 │롯데 │ 28 │ 9,758,305 │├─┼──────┼──────┼──────────┤│2 │현대자동차 │ 5 │ 5,558,930 │├─┼──────┼──────┼──────────┤│3 │SK │ 19 │ 5,075,738 │├─┼──────┼──────┼──────────┤│6 │포스코 │ 10 │ 4,899,924 │├─┼──────┼──────┼──────────┤│14│CJ │ 46 │ 4,102,373 │├─┼──────┼──────┼──────────┤│8 │한화 │ 11 │ 3,573,267 │├─┼──────┼──────┼──────────┤│9 │현대중공업 │ 5 │ 3,087,189 │├─┼──────┼──────┼──────────┤│23│미래에셋 │ 4 │ 2,634,545 │├─┼──────┼──────┼──────────┤│4 │LG │ 25 │ 2,278,869 │├─┼──────┼──────┼──────────┤│13│신세계 │ 14 │ 1,871,041 │├─┼──────┼──────┼──────────┤│7 │GS │ 16 │ 1,175,562 │├─┼──────┼──────┼──────────┤│20│현대백화점 │ 10 │ 625,134 │├─┼──────┼──────┼──────────┤│12│KT │ 14 │ 531,045 │├─┼──────┼──────┼──────────┤│19│금호아시아나│ 8 │ 487,379 │├─┼──────┼──────┼──────────┤│15│부영 │ 4 │ 340,199 │├─┼──────┼──────┼──────────┤│22│효성 │ 8 │ 225,737 │├─┼──────┼──────┼──────────┤│18│대림 │ 8 │ 118,624 │├─┼──────┼──────┼──────────┤│16│LS │ 9 │ 79,234 │├─┼──────┼──────┼──────────┤│25│대우건설 │ 4 │ 38,477 │├─┼──────┼──────┼──────────┤│17│대우조선해양│ 5 │ 33,984 │├─┼──────┼──────┼──────────┤│11│두산 │ 1 │ 23,330 │├─┼──────┼──────┼──────────┤│10│한진 │ 1 │ 11,773 │├─┼──────┼──────┼──────────┤│26│영풍 │ 2 │ 1,070 │├─┼──────┼──────┼──────────┤│21│OCI │ 1 │ 132 │├─┼──────┼──────┼──────────┤│28│KCC │ 1 │ 32 │├─┴──────┼──────┼──────────┤│합계 │ 280 │ 57,913,584 │└────────┴──────┴──────────┘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