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3대 신용평가기관서 사상 첫 AA- 등급 획득평균 신용등급 일본·중국 제쳐…1인당 GDP 2018년 3만 달러 예상남북한 합의 따른 한반도 긴장 완화 등급 상승에 영향 준 듯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 S&P와 무디스, 피치 등 3대 국제 신용평가기관에서 사상 처음으로 AA-등급을 받게돼 평균 신용등급이 일본, 중국보다 높아졌다.
S&P는 15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한 단계 올렸다고 밝혔다.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제시됐다.
S&P는 지난해 9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한 채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긍정적'으로 올려 등급 상향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신용등급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것은 앞으로 6∼24개월 사이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우리나라가 S&P로부터 AA- 등급을 받은 것은 IMF(국제통화기금) 금융위기 직전인 1997년 8월6일(AA-) 이후 18년여 만이다.
S&P는 한국의 신용등급 상향 이유로 우호적인 정책 환경, 견조한 재정상황, 우수한 대외건전성을 제시했다.
우호적인 정책 환경과 관련해 한국은 앞으로 3∼5년간 대다수 선진국에 비해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S&P는 평가했다.
S&P는 한국의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연 3%로 추산하면서 1인당평균 GDP의 경우 2018년에 3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의 통합재정수지는 2000년 이후 대체로 흑자를 기록했으며 순 정부부채도올해 기준으로 GDP의 20%를 소폭 웃도는 등 양호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한국 정부와 금융권이 보유한 대외유동자산이 총대외채무를 초과하는 규모가 2014년 경상계정수입의 21% 수준에서 올해는 30%가 될 것으로 S&P는 전망했다.
S&P는 은행권 대외채무의 평균 만기도 길어졌으며 총단기외채가 경상수입계정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S&P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평가한 것에 대해서는 한국의신용지표가 앞으로 2년간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견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S&P가 그동안 북한 리스크를 상당히 중요하게 고려했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남북한 합의에 따른 한반도 긴장 완화도 신용등급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S&P의 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대해 세계 경제 둔화 속에서도 양호한 대외건전성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구조개혁을꾸준하게 추진한 성과를 높이 평가한 결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3대 신용평가기관 중 다른 2곳의 한국 신용등급을 보면 무디스는 Aa3(등급 전망긍정적), 피치는 AA-(안정적)이다.
한국은 현재까지 1996년 6월 27일∼1997년 10월 24일, 2012년 9월 6일∼현재까지 2개 기관으로부터 AA- 등급을 받은 적은 있었지만 3개 기관 모두로부터 AA- 등급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대 신용평가기관에서 모두 AA- 이상 등급을 받은 국가는 주요 20개국(G20) 중엔 한국을 포함해 미국, 독일, 캐나다, 호주, 영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국에 불과하다.
전 세계적으로는 22개국이 3대 신용평가기관부터 AA- 이상 등급을 받았다.
또 일본의 신용등급은 S&P AA-, 무디스 A1, 피치 A이고 중국의 등급은 S&P AA-,무디스 Aa3, 피치 A+다.
따라서 3대 신용평가기관의 평균 등급은 한국이 가장 높다.
중국은 피치의 등급에서 한국에 뒤지고 일본은 무디스와 피치에서 한국보다 신용등급이 낮다.
특히 2014년 이후 S&P로부터 AA- 이상 등급으로 상향 조정된 국가는 전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S&P의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대해 "국제금융기구나 신용평가기관에서는 한국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가장 적절한 정책을 펴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11월 G20 정상회의에서도 한국의 경제정책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kong79@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 S&P와 무디스, 피치 등 3대 국제 신용평가기관에서 사상 처음으로 AA-등급을 받게돼 평균 신용등급이 일본, 중국보다 높아졌다.
S&P는 15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한 단계 올렸다고 밝혔다.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제시됐다.
S&P는 지난해 9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A+로 유지한 채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긍정적'으로 올려 등급 상향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신용등급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것은 앞으로 6∼24개월 사이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우리나라가 S&P로부터 AA- 등급을 받은 것은 IMF(국제통화기금) 금융위기 직전인 1997년 8월6일(AA-) 이후 18년여 만이다.
S&P는 한국의 신용등급 상향 이유로 우호적인 정책 환경, 견조한 재정상황, 우수한 대외건전성을 제시했다.
우호적인 정책 환경과 관련해 한국은 앞으로 3∼5년간 대다수 선진국에 비해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S&P는 평가했다.
S&P는 한국의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연 3%로 추산하면서 1인당평균 GDP의 경우 2018년에 3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의 통합재정수지는 2000년 이후 대체로 흑자를 기록했으며 순 정부부채도올해 기준으로 GDP의 20%를 소폭 웃도는 등 양호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한국 정부와 금융권이 보유한 대외유동자산이 총대외채무를 초과하는 규모가 2014년 경상계정수입의 21% 수준에서 올해는 30%가 될 것으로 S&P는 전망했다.
S&P는 은행권 대외채무의 평균 만기도 길어졌으며 총단기외채가 경상수입계정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S&P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평가한 것에 대해서는 한국의신용지표가 앞으로 2년간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견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S&P가 그동안 북한 리스크를 상당히 중요하게 고려했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남북한 합의에 따른 한반도 긴장 완화도 신용등급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S&P의 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대해 세계 경제 둔화 속에서도 양호한 대외건전성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구조개혁을꾸준하게 추진한 성과를 높이 평가한 결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3대 신용평가기관 중 다른 2곳의 한국 신용등급을 보면 무디스는 Aa3(등급 전망긍정적), 피치는 AA-(안정적)이다.
한국은 현재까지 1996년 6월 27일∼1997년 10월 24일, 2012년 9월 6일∼현재까지 2개 기관으로부터 AA- 등급을 받은 적은 있었지만 3개 기관 모두로부터 AA- 등급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대 신용평가기관에서 모두 AA- 이상 등급을 받은 국가는 주요 20개국(G20) 중엔 한국을 포함해 미국, 독일, 캐나다, 호주, 영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국에 불과하다.
전 세계적으로는 22개국이 3대 신용평가기관부터 AA- 이상 등급을 받았다.
또 일본의 신용등급은 S&P AA-, 무디스 A1, 피치 A이고 중국의 등급은 S&P AA-,무디스 Aa3, 피치 A+다.
따라서 3대 신용평가기관의 평균 등급은 한국이 가장 높다.
중국은 피치의 등급에서 한국에 뒤지고 일본은 무디스와 피치에서 한국보다 신용등급이 낮다.
특히 2014년 이후 S&P로부터 AA- 이상 등급으로 상향 조정된 국가는 전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S&P의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대해 "국제금융기구나 신용평가기관에서는 한국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가장 적절한 정책을 펴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11월 G20 정상회의에서도 한국의 경제정책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kong79@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