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과 한국방송은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 누리집을 통해 ‘스마트폰(Smart Phone)’의 순수 우리말을 ‘똑똑(손)전화’로 최종 확정했다.
※ 스마트폰 : 인터넷 정보검색, 그림 정보 송·수신 등의 기능을 갖춘 차세대 휴대전화.
외국에서 먼저 인기를 끈 스마트폰(Smart Phone)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기존의 휴대전화 사용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었다. 스마트폰은 실시간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입맛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말터 누리집에서는 영어 표현인 ‘스마트폰(Smart Phone)’을 대신할 우리말을 공모했다. 누리꾼들은 ‘똑똑(손)전화’, ‘모듬기능전화’, ‘맞춤형(휴대)전화’, ‘슬기(손)전화’ 등을 후보로 제안했다.
모두 1,968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투표 결과 ‘똑똑(손)전화’가 924명(46%)의 지지를 얻어 우리말로 최종 선정됐다.
한경닷컴 bnt뉴스 김희정 기자 life@bntnews.co.kr
▶ 한글, 어려운 맞춤법 best10
▶ ‘수다男, 된장女’ 진상남녀 1위?
▶ 女 '하루 사용하는 화장품' 몇 개?
▶ 男·女 ‘420만원 더 주면’ 쿨하게 이직!
▶ ‘아들, 딸’에게 가장 하고 싶은 말?
▶[이벤트] 부르조아의 수분 가득한 클렌징이 궁금해?
※ 스마트폰 : 인터넷 정보검색, 그림 정보 송·수신 등의 기능을 갖춘 차세대 휴대전화.
외국에서 먼저 인기를 끈 스마트폰(Smart Phone)이 국내에 유입되면서 기존의 휴대전화 사용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었다. 스마트폰은 실시간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입맛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말터 누리집에서는 영어 표현인 ‘스마트폰(Smart Phone)’을 대신할 우리말을 공모했다. 누리꾼들은 ‘똑똑(손)전화’, ‘모듬기능전화’, ‘맞춤형(휴대)전화’, ‘슬기(손)전화’ 등을 후보로 제안했다.
모두 1,968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투표 결과 ‘똑똑(손)전화’가 924명(46%)의 지지를 얻어 우리말로 최종 선정됐다.
한경닷컴 bnt뉴스 김희정 기자 life@bntnews.co.kr
▶ 한글, 어려운 맞춤법 best10
▶ ‘수다男, 된장女’ 진상남녀 1위?
▶ 女 '하루 사용하는 화장품' 몇 개?
▶ 男·女 ‘420만원 더 주면’ 쿨하게 이직!
▶ ‘아들, 딸’에게 가장 하고 싶은 말?
▶[이벤트] 부르조아의 수분 가득한 클렌징이 궁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