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bntnews.hankyung.com/bntdata/images/photo/201301/b759eeb764e97c7b621b2395f7862b12.jpg)
[박영준 기자] 유난히 눈이 많이 오는 이번 시즌 겨울에는 ‘퍼(fur)’에 주목하자.
겨울 시즌 트렌드 세터들의 옷차림에서 공통점을 찾자면 퍼의 다양성이다. 평년 이상의 강설량이 패션에 민감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감싼 퍼 아이템들이 보온성과 스타일링의 포인트를 동시에 잡았다.
특히 새하얀 눈밭에서 밝은 컬러의 퍼 아이템은 빛을 반사하듯 화려한 이미지를 전달한다. 다양한 컬러의 퍼 아이템이 등장하면서 페이크 퍼(fake fur)에 대한 반감도 사라진 모습이다. 퍼가 주는 계절감이 소재와 컬러에 대한 봉인을 풀었다.
또 하나의 특징은 재킷에 국한되었던 스타일링이 전반적인 코디 아이템으로 나타난 것. 모자, 베스트, 머플러, 장갑, 워머 등 세련된 오피스룩부터 캐주얼 한 옷차림까지 다양하게 소화할 수 있어 연령대와 무관한 스타일링이 가능해졌다.
▶ 퍼가 어려졌다? 세련되지만 무겁지 않게
올드하지 않게 퍼 스타일링을 즐기려면 웨어러블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퍼 자체로도 여성스러우면서도 우아한 느낌이 십분 강조될 수 있기에 전반적인 스타일링에 힘을 빼주는 것.
첫 번째는 기장이다. 최근에는 한층 짧고 라인이 잡힌 퍼 재킷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발랄하면서도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한층 돋보이게 해줄 수 있는 아이템. 캐주얼한 연출을 원한다면 진이나 레깅스 팬츠를 매치하고, 블라우스 보다 티셔츠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퍼 베스트를 활용하는 것도 한층 어려 보이는 느낌을 강조할 수 있다. 이너와 아우터로 둘 다 활용 가능한 멀티유즈 아이템 퍼 베스트는 모직코트나 가죽 재킷의 위에 걸치면 더욱 세련된 분위기를 과시할 수 있다. 이너에 레이어드하면 보온성과 함께 감각적인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https://imgbntnews.hankyung.com/bntdata/images/photo/201301/4e1ce85c5781f84bb09b047295c9e848.jpg)
▶ 한층 밝고 화사해진 컬러와 패턴 매치에 주목
자칫 고루해 보일 수 있는 퍼를 새롭게 다가서는 또 다른 방법은 컬러와 패턴 매치를 눈 여겨 보는 것. 특히 페이크 퍼의 경우 진짜가 아니기에 연출되는 느낌이 있다. 진짜보다 좀 더 캐주얼하지만 스타일은 놓치지 않는다.
페이크 퍼가 트리밍된 코트에 유니크한 패턴의 이너를 매치하면 한층 발랄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발랄한 이너에 퍼 코트로 액센트를 주는 것. 엣지 있는 모자를 함께 매치하면 페이크 퍼의 투박하고 청키한 분위기를 세련되게 탈바꿈 시킨다.
다만 페이크 퍼 아이템 중 호피무늬나 줄무늬 등이 가미된 퍼 재킷은 생각을 좀 해볼 필요가 있다. 무늬나 패턴이 과도한 퍼 아이템은 더욱 나이가 들어 보일 수 있기 때문. 기본적인 블랙이나 화이트 퍼 아이템이 기본적이지만 정답에 가깝다.
▶ 액세서리는 필수! 포인트를 강조하라
![](https://imgbntnews.hankyung.com/bntdata/images/photo/201301/b6e784f4168c540adbc6607d5adb59ac.jpg)
퍼의 대중화는 귀마개부터 워머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겨울에만 즐길 수 있는 아이템이라는 한정이 패션 피플들에게 더욱 사랑 받는 이유다.
사실 전체적인 룩에서 퍼 액세서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포인트로서의 효과는 크다. 풍성하고 볼륨감이 강한 만큼 전체적인 룩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시크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는 것도 퍼 액세서리가 가진 강점.
최근 각광받는 아이템은 기존에 찾아볼 수 없던 액세서리다. 대표적으로 ‘핸들 워머’를 들 수 있다. 뉴욕발 패션 백 돌풍을 일으킨 리키로제타에서 최근 출시된 핸들 워머는 백의 핸들 부분에 퍼로 된 장식을 씌워 계절감을 더한다. 아끼는 백에 액세서리를 달아준다는 점도 자신만큼 백을 사랑하는 여성들에게 색다르게 다가온다.
특히 리키로제타처럼 강한 컬러감을 가진 백도 핸들 워머가 가미되면 계절감이 살아난다. 겨울에도 부담 없이 매치할 수 있는 것. 액세서리 하나로 활용도가 늘어난 사례다. 작은 부분이지만 전체적인 스타일링에 대한 기여도는 매우 큰 액세서리 활용이다.
(모델: 공수아, 안현희/ 헤어 메이크업: 정샘물 인스피레이션 최현정 부원장 / 가방: 리키로제타 / 의상: 스타일난다)
한경닷컴 bnt뉴스 기사제보 fashion@bntnews.co.kr
▶훈남 하객★ “신랑보다 멋있으면 안되는데…”
▶박신혜, 혹한기 패션의 정석 패딩점퍼도 완벽 소화
▶‘엄태웅 결혼식’ 하객★들 “패션의 완성은 바로 이 것?”
▶소녀시대 하이패션 포즈, 섹시한 옷차림에 귀요미 동작?
▶신보라-김지민, ‘개콘’ 개그우먼들이 즐겨입는 스타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