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304/fc262d066e35ca7127482d9e7f112d46.jpg)
-SUV 늘고 소형차 줄어…수입차 증가율은 국산차 8배
올해 3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1,902만869대로, 오는 2015년 상반기에는 2,000만 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997년 7월말 자동차 등록대수가 1,000만 대를 돌파한 후 15년9개월만에 900만 대가 늘었다. 1,800만 대를 넘어선 2011년 1월부터 2년2개월간 100만 대가 증가한 셈이다. 최근 10년간 등록추이를 보면 2002년까지 7~8% 수준의 급격한 성장률을 기록했고, 2004년 이후 2~3%대의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
![]() |
국토교통부는 올해 1분기 자동차시장에서 주목할만한 점으로 수입차의 증가세 지속, SUV 판매신장, 소형차 감소 등을 꼽았다.
현재 수입차 누적 등록대수는 78만1,319대로, 전체 대비 4.1% 수준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20%대의 성장률을 이어가며 국산차 대비 약 8배의 신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1분기 수입차의 신규 등록대수는 3만7,009대로, 전체 신규 등록 40만8,721대 중 9.1%를 차지했다.
![]() |
SUV의 성장세도 두드러진다. 고유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디젤차에 대한 수요가 늘고, 레저인구 증가로 공간활용도가 높은 SUV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 지난해 SUV 신규 등록은 25만2,298대로 신규 등록 승용차 135만9,048대 중 18.6%를 점유했다. 올해 3월까지 새로 등록된 SUV는 7만2,538대로, 지난해 동기보다 30.8% 증가했다.
소형 승용차는 점유율이 지난해 7.4%에서 7.0%로 0.4%포인트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경차의 경우 취득세·등록세 면제, 고속도로 통행료와 책임보험 할인 등 구매 혜택이 있는 반면 소형차에는 세제지원 등이 없어 상대적으로 구매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2013년 자동차 등록대수를 전년 대비 약 50만 대 늘어난 1,950만 대로 추정했다. 또 고유가와 캠핑문화 확산 등으로 디젤차의 판매신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어떤 車 오래가나? 일본-한국차 내구성 경쟁 치열
▶ 피아트, 이탈리안 디자인 감성 주목
▶ 현대기아차, 국내 소비자 우대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