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3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에 따르면 현재 피임을 중단했거나 피임 경험이 없는 20~44세 기혼여성 969명 가운데 32.3%는 "임신을 시도했지만 최소 1년 동안 임신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난임 경험률은 3년 전보다 6.1%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나이별로는 20~24세(19.2%), 25~29세(14.2%), 30~34세(22.9%), 35~39세(49.3%), 40~44세(71.9%) 등으로 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난임 경험률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을 다니는 기혼여성의 난임 경험률은 36.0%로 취업하지 않은 기혼 여성(29.3%)보다 6.7%포인트 높았다. 또한 동 단위의 도시 거주 기혼여성(31.4%)보다는 읍, 면 지역의 여성(38.3%)이 더욱 난임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난임 진찰을 받은 기혼여성 49.4%, 남편 75.0%는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였다. 원인을 찾았을 때 여성은 나팔관 장애(19.3%), 배란 장애(16.7%), 자궁내막 장애(10.8%) 남성은 정자무력증(10.4%), 무정자증(8.5%) 등의 이유를 꼽았다.
김승권 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혼여성들의 난임 경험, 진단, 치료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현재의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지원 대상 확대는 물론 지원 수준 향상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기혼여성 3명중 1명이 난임? 심각하네" "기혼여성 3명중 1명이 난임이라는 사실이 안타깝다" "기혼여성 3명중 1명 난임? 이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할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경닷컴 bnt뉴스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 구애 3번 이상 경범죄 처벌 “10번 찍기도 전에 차단?”
▶ 98%가 틀리는 문제, 간단해보였는데 세다보니 헷갈려
▶ 결혼 후 걱정 1위, 역시 돈… ‘결혼은 현실이라더니 씁쓸하네’
▶ 비만 세균 발견, 물만 먹어도 살찌는 느낌? 그렇다면 장 속에…
▶ 가장 살찌기 쉬운 요일, 개콘 엔딩음악과 함께 몰려오는 우울함?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