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현대차 전주공장과 기아차 광주공장에서 5월부터 휴일특근을 재개한다고 9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현대차 전주공장 버스라인과 기아차 광주공장이 5월 중 최대 4회(1일 기준)휴일특근을 시행하기로 노사가 합의했다. 이는 지난달 26일 휴일특근 관련 노사합의 결정에 따른 첫 사례하는 게 회사 설명이다.
5월 전주공장 버스라인은 11, 17, 18, 25일 총 4회 휴일 특근을 진행하고, 주간연속 2교대 근무형태(8시간 + 9시간)와 근로자 1인당 평균 22만5,000원의 임금을 적용한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7일 노사협의를 통해 5월 중 전 공장 휴일특근에 대해 재차 합의했다. 지난 3월 이후 3개월 연속이다. 특히 광주공장은 세부사항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선시행 후협의'를 결정했다. 이달에는 1~3공장별로 11, 17, 25일에 걸쳐 2~4회 휴일특근을 시행한다.
한편, 기아차 화성공장 내 파워트레인공장도 이달 휴일특근에 합의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수입 신차, 미지근한 반응 '굴욕' 이어져
▶ 국산 쿠페, 판매는 되는데 존재감 없네
▶ 현대차, 교통사고 사망 유자녀 소원 들어준다
▶ 기아차, 화성공장서 환경과학교실 연다
회사에 따르면 현대차 전주공장 버스라인과 기아차 광주공장이 5월 중 최대 4회(1일 기준)휴일특근을 시행하기로 노사가 합의했다. 이는 지난달 26일 휴일특근 관련 노사합의 결정에 따른 첫 사례하는 게 회사 설명이다.
5월 전주공장 버스라인은 11, 17, 18, 25일 총 4회 휴일 특근을 진행하고, 주간연속 2교대 근무형태(8시간 + 9시간)와 근로자 1인당 평균 22만5,000원의 임금을 적용한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7일 노사협의를 통해 5월 중 전 공장 휴일특근에 대해 재차 합의했다. 지난 3월 이후 3개월 연속이다. 특히 광주공장은 세부사항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선시행 후협의'를 결정했다. 이달에는 1~3공장별로 11, 17, 25일에 걸쳐 2~4회 휴일특근을 시행한다.
한편, 기아차 화성공장 내 파워트레인공장도 이달 휴일특근에 합의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수입 신차, 미지근한 반응 '굴욕' 이어져
▶ 국산 쿠페, 판매는 되는데 존재감 없네
▶ 현대차, 교통사고 사망 유자녀 소원 들어준다
▶ 기아차, 화성공장서 환경과학교실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