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305/a5bb911b057b3d9ddfc1e59663b338bd.jpg)
현대자동차가 수소를 활용한 연료전지차(FCEV)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내년부터 연료전지차를 대거 투입키로 했다. 이를 통해 유럽 내 다임러그룹과 어깨를 견준다는 방침이다.
![]() |
30일 현대·기아자동차 연료전기개발실 안병기 실장은 '창조경제와 한국 자동차산업의 진로' 세미나에 참석, 향후 수소연료전지차 전략을 설명하면서 "현대·기아차는 FCEV시장에서 주도권을 노리겠지만 2014년 본격 경쟁에 나서면 유럽 내 다임러 등의 견제가 거셀 것"이라며 "현재 FCEV는 내구성을 높이고 가격을 내리는 게 관건인데, 내구성은 20만㎞까지 확보했고 가격은 양산을 통해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생산대수에 따라 가격은 얼마든지 내려갈 여지가 있다는 얘기다.
FCEV의 개선점에 대해선 냉시동성을 꼽았다. 그는 "저온에서 시동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며 "내부적으로 다양한 조건의 시험을 통해 기능을 많이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또 일반 소비자들의 수소에 대한 편견을 줄여 나가는 게 과제라고 덧붙였다. 안 실장은 "다양한 충돌시험에서 연료탱크가 손상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수소연료전지차는 화재에도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FCEV가 상용화되려면 국가의 인프라 지원이 필수라는 점도 주장했다. 충전소 인프라 구축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것. 그는 "유럽은 이미 91기의 충전소가 있다"며 "현재 13기에 불과한 국내 충전소 확대가 FCEV 주도권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한편, 연료전지의 에너지로 활용하는 수소는 우주 질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원소이며, 단위무게 당 연소열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과거에는 수소를 직접 태우는 수소엔진에 관심이 많았지만 효율성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가장 활발하게 수소엔진을 연구했던 BMW도 현재는 수소엔진이 아닌 수소 FCEV쪽으로 관심을 옮겼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개조 전기차, 일반 도로 등장 '카운트다운'
▶ 연비표기 불량, 페라리 등 9개사 고발
▶ 람보르기니 원-메이크 매치, 한국 최초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