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311/82c1fec7fbd846bc368343a010d6b2e5.jpg)
-단체표준 인증 박차···사전 자체 충전망 보급
한국지엠이 최근 출시한 전기차 스파크 EV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충전 인프라 보급에 박차를 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19일 한국지엠에 따르면 스파크 EV의 급속 충전 규격인 콤보(타입1) 방식 단체표준 인증이 늦어도 내년 초까지 마무리된다. 또 제주특별자치도와 창원시 등 이미 전기차가 보급된 지역은 인증 절차를 기다리지 않고 자체 급속 충전망을 마련, EV 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창원시는 이미 시청과 한국지엠 창원공장, 창원 정비사업소 등에 충전기 설치를 마쳤고, 제주도는 4곳의 영업소를 중심으로 급속충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 |
전기차는 내연기관보다 주행거리가 짧고, 완속 충전 시 4~6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원활한 운용을 위해선 2~30분에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기 보급이 중요하다. 내연기관차가 주유소를 이용하듯 이동 중 전력 보급은 급속충전기가 담당할 수밖에 없어서다.
스파크EV는 DC콤보(타입1) 방식의 급속 충전기를 사용한다. 해당 규격은 현재 국내 표준으로 인증받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한국전력공사가 구축하는 지능형 전력망(AMI)과 통신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일반적으로 표준방식 선정 여부는 충전기 보급에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보급 시 정부 지원에 포함되기 위해서다. 한국지엠이 단체표준을 서두르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현재 기아차 레이EV 차데모 방식은 단체표준 인증을 받았고, 르노삼성차 SM3 Z.E. 교류3상 방식은 KS인증을 마쳐 정부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한국지엠 관계자는 "스파크 EV가 보급된 지역은 회사 자체적으로 급속충전기를 지원해 주행 시 불편함이 없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그러나 정부 지원 없이 충전 인프라 보급이 쉽지 않아 단체 표준을 최대한 빨리 받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또 "지능형충전망(AMI)과 콤보 방식 급속충전기 무선 통신 주파수 영역이 겹쳐 통신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러나 AMI 보급률이 전국 10% 미만이고, 회사 내부적으로도 간섭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인증을 받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스파크 EV는 구매 시 가정용 충전기를 기본 지급하고, 민간 구매자는 정부 및 지자체 보조금으로 전용 완속 충전기 설치를 지원받을 수 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시승]렉서스 슈퍼카, LFA를 타다
▶ 렉서스, "라이프스타일 마케팅에 나서겠다"
▶ 폭스바겐, 승승장구 속 불안요소는?
▶ 아우디 초소형차 A0 국내 도입, 있다?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