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311/8259c21610ae3f6c9dbe7477d87f9d4c.jpg)
보험개발원이 차종별 보험료를 차등 적용하는 데 기준이 되는 '차량모델등급제도'를 조정하고 최근 금융감독원에 신고·수리했다고 27일 밝혔다. 국산차 및 수입차 66개 차종의 자차 보험료는 인상되고, 국산차 60개종의 보험료는 인하될 전망이다.
![]() |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현행 21개 등급체계에 상한 구간 5개 등급을 추가 신설하고 수입차의 분류기준을 세분화했다. 차종별 손해율을 의미하는 참조적용율의 상한선을 150%에서 200%까지 확대하고, 수입차의 경우 기존 제작사 기준으로 구분하던 것을 브랜드별로 변경하고, 1만대 이상 등록된 폭스바겐 파사트와 티구안을 별개 평가 대상으로 신설했다. 변경안은 내년 1월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변경안에 따라 평가대상 206개 항목 중 국산차 34종과 수입차 32종의 보험료가 인상될 전망이다. 국산차 중에서는 기아차 올뉴프라이드와 K3, 현대차 벨로스터와 싼타페(DM), 쉐보레 말리부와 올란도, 쌍용차 뉴카이런과 렉스턴II 등이 3등급 이상 상향 조정돼 보험료가 큰 폭으로 오른다. 수입차는 크라이슬러, 포드, 인피니티, 푸조, 폭스바겐 전차종, 볼보, 토요타, 아우디, 닛산, 혼다, 재규어,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의 보험료 조정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등급 인하로 보험료 인하가 기대되는 차종은 국산차 30종이다. 이 중 기아차 뉴프라이드와 신형 카렌스, 르노삼성차 SM7 등은 3단계 이상 등급이 낮아져 인하 혜택을 크게 볼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에서는 수입차의 자차보험료는 평균 11.3%, 국산차는 평균 2.9% 정도 인하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자동차 보험 가입자 중 자차보험에 가입한 비율은 50%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보험개발원은 이번 조정안과 관련 "특히 할증 적용률 최고 등급인 1등급에 많은 차종이 몰리면서 위험 수준이 다르지만 같은 등급의 요율을 적용받는 불합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했다"며 "부품가격 인하, 신차 개발 시 수리비 절감 노력 등이 뒤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부자료 자료실에 있음.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기자파일]잡으려는 일본, 놓으려는 한국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신형 S클래스 출시
▶ [모터쇼]혼다가 선보인 미래차
▶ [모터쇼]벤츠, GLA 45 AMG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