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미선 인턴기자] 새해 사자성으로 전미개오(轉迷開悟)가 선정됐다.
12월31일 교수신문은 지난 6일부터 15일까지 전국의 교수 617명을 대상으로 새해 사자성어를 조사한 결과 27.5%(170명)가 ‘전미개오’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전미개오’란 ‘구를 전(轉)’ ‘미혹할 미(迷)’ ‘열 개’(開) ‘깨달음 오(悟)’ 자를 써서 ‘어지러운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에 이른다’라는 의미를 담은 불교용어다.
문성훈 서울여대 교수는 “올 한 해 동안 있었던 속임과 거짓에서 벗어나 진실을 깨닫고 새로운 한 해를 열어가자는 의미에서 이 사자성어를 추천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전매개오에 이어 ‘격탁양청’(激濁揚淸)이 23.8%(147명)의 선택을 받아 2위에 올랐다.
‘격탁양청’(激濁揚淸)은 ‘흐린 물을 씻어내고 맑은 물을 흐르게 한다’는 뜻으로 ‘당서’(唐書)의 ‘왕규전’(王珪傳)에서 나온 말이다.
bnt뉴스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 잦은 송년회, 재미있는 '건배' 구호
▶ 상쾌한 아침, 가벼운 하루를 만드는 비법
▶ 떠리몰, 유통기한 임박 제품 ‘최대 90% 할인’
▶ 가까운 일출명소는 어디에? ‘의외로 서울에 많네’
▶ 송탄역 부근 열차 탈선…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어
12월31일 교수신문은 지난 6일부터 15일까지 전국의 교수 617명을 대상으로 새해 사자성어를 조사한 결과 27.5%(170명)가 ‘전미개오’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전미개오’란 ‘구를 전(轉)’ ‘미혹할 미(迷)’ ‘열 개’(開) ‘깨달음 오(悟)’ 자를 써서 ‘어지러운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에 이른다’라는 의미를 담은 불교용어다.
문성훈 서울여대 교수는 “올 한 해 동안 있었던 속임과 거짓에서 벗어나 진실을 깨닫고 새로운 한 해를 열어가자는 의미에서 이 사자성어를 추천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전매개오에 이어 ‘격탁양청’(激濁揚淸)이 23.8%(147명)의 선택을 받아 2위에 올랐다.
‘격탁양청’(激濁揚淸)은 ‘흐린 물을 씻어내고 맑은 물을 흐르게 한다’는 뜻으로 ‘당서’(唐書)의 ‘왕규전’(王珪傳)에서 나온 말이다.
bnt뉴스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 잦은 송년회, 재미있는 '건배' 구호
▶ 상쾌한 아침, 가벼운 하루를 만드는 비법
▶ 떠리몰, 유통기한 임박 제품 ‘최대 90% 할인’
▶ 가까운 일출명소는 어디에? ‘의외로 서울에 많네’
▶ 송탄역 부근 열차 탈선…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