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만 해도 자동차는 목적지를 가기 위한 하나의 운송체였다. 하지만 최근 여러 기기와 연동되며 네트워크 단말기 역할이 높아지는 중이다. 이처럼 자동차를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연결된 커넥티드 디바이스로 보는 것이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개념이다.
오늘 날 많은 기기들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이 상호 연결돼 있다. 즉 전장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시대로 변한 것이다. 이런 스마트 기기는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게 아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치를 높이는 중이다.
자동차 역시 전장시스템으로 연결돼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커넥티드 카의 목적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와 정보 시스템도 다양해지고 있다. 운전자 입장에선 운전자 정보(Driver Information)와 운전 지원(Driver Assistance), 텔레매틱스(Telematices),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로 나뉠 수 있는데, 운전자 정보는 운전 때 시야에 들어오는 스마트미터나 회전 속도계, 엔진 온도, 연료 게이지 등을 제공하는 클러스터 인포메이션 등이 있다. 운전 지원은 충돌방지 경보(Anti-Collision warning)나 충돌 방지, 주차를 돕는 것과 후진보조(Park & Reverse Assist) 등이 있으며, 텔레매틱스는 이콜(eCall, Emergency Call)과 자동차가 어디로 움직이는지 체크해주는 커머셜 트래킹(Commercial Tracking) 등이 있다. 인포테인먼트는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등이다. 기본적으로 라디오나 음악 등을 듣는 것에서 최근에는 핸즈프리 보이스 레코니션(Hand Free Recognition)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사실 기존 정보 제공은 각각 별개의 시스템으로 존재했지만 자동차가 복잡해지면서 하나의 통합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중이다. 또한 자동차 플랫폼은 크게 안전과 유용한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서브시스템이 있다. 예전에는 운전 시 문제가 발생하면 전화를 사용해 자신의 상황을 알렸지만 이 방식은 안전하지 않고 전화가 고장 났을 경우 도움을 요청할 수도 없다. 그래서 사고로 운전자가 의식을 잃으면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통해 즉시 지원하는 시스템도 마련된 상황이다. 또한 이런 텔레매틱스는 사용자가 자동차 열쇠를 놓고 온 경우 전화로 문을 열어 주거나 자동차 헬스 기능으로도 발전했다.
하지만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운전자가 안전을 직접 확인, 판단해서 제어해야 한다. 낮은 카메라 비용과 다양한 센서 등으로 자동차가 운전 환경을 직접 판단할 수 있는 셈이다.
이처럼 자동차 안전은 진화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될 날이 온다. 게다가 운전보조장치(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는 세계적으로 커넥티드 카의 핵심 구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비용 카메라와 비전 등으로 빠르게 발전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안전이라는 목적을 위해 다양한 기능이 연동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402/d75a5e7c3504a705838ae294a1e31a54.jpg)
김태식(자동차전장칼럼니스트)
autosoftcar@gmail.com
▶ 아우디코리아, TTS 컴피티션 60대 한정 판매
▶ 중고차로 팔때 값 가장 덜 깎이는 차종은 SUV
▶ 수입차 상위 5개사, 점유율 꾸준히 높아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