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504/0043e8eb116be3c5332fc25629e7e6f3.jpg)
르노삼성차가 전기차 배터리 급속교환 시설, 이른바 '퀵드롭 시설'의 운영을 중지했다. 전기차 보급이 더뎌 운영 수익을 담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16일 르노삼성차에 따르면 퀵드롭 교환 방식은 배터리 전력의 100%를 충전하는 완속 충전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개발됐다. 실제 현재 전기차 배터리의 완속 충전에는 4시간 이상이 걸려 3분 이내에 끝나는 내연기관차의 연료공급 시간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르노삼성은 사용한 배터리를 탈거하고, 이미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로 교체하는 퀵드롭 방식을 선보이며, 전기차 대중화를 시도했다.
![]() |
이에 따라 지난 2013년 SM3 Z.E.의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는 퀵드롭 시설을 제주에 설치, 전기택시 실증실험 과정에서 사업 효용성을 판단키로 했다. 퀵드롭 채택으로 트렁크 일부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지만 적재 공간을 손해 보더라도 배터리 충전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는 게 급선무라는 점에서 설치를 확대했다.
그러나 최근 전기차의 느린 보급 속도로 퀵드롭은 운영이 중단됐다. 시설 운영 지출이 수익보다 컸던 것. 특히 퀵드롭 방식은 택시나 렌터카에 최적화된 서비스로, 이들의 보급 속도가 일반보다 느린 점이 치명타로 작용했다.
![]() |
게다가 퀵드롭을 채택한 르노 계열 전기차는 SM3 Z.E.가 유일, 범용성 면에서 약점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르노삼성은 언제든 운영대수가 늘면 다시 퀵드롭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업계는 회의적이다. 보급 과정에서 SM3 Z.E. 숫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 않아서다. 제주도가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차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현재로선 예산 확보 방안도 세우지 못한 상태다.
회사 관계자는 "제주도의 2030 카본 프리 전략에 따라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 퀵드롭 시설을 5년 내 다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는 저조한 보급 대수나 과금 체계의 불합리성으로 퀵드롭 운영을 중단한 상태"라고 밝혔다.
박진우 기자 kuhiro@autotimes.co.kr
▶ [시승]가장 현실적인 전기차, 르노삼성차 SM3 Z.E.
▶ [시승]닛산 리프 vs BMW i3, 수입 전기차 비교해보니
▶ [시승]또 하나의 전기차, 아우디 A3 e-트론 PHEV
▶ [시승]닛산의 미래 승부수, 리프(LEAF) 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