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bntnews.hankyung.com/bntdata/images/photo/201601/1ed8950bdcb57cf9e54cac9c6dd2090d.jpg)
[bnt뉴스 이린 기자] 남녀 간의 결코 가볍지 않은 사랑을 이토록 아름답게 녹여낼 수 있을까. 그리고 그 두 남녀, 석원과 진영이 정우성과 김하늘을 만나니 더할 나위없다.
영화 ‘나를 잊지 말아요’(감독 이윤정)는 교통사고 후, 10년 간의 기억을 잃어버린 채 깨어난 석원(정우성)과 그 앞에 나타난 비밀스러운 여자 진영(김하늘), 지워진 기억보다 소중한 두 사람의 새로운 사랑을 그린 감성멜로.
이야기는 실종신고를 하기 위해 경찰서를 찾은 석원의 단조로운 한 마디로 막을 연다. 그리고 시간을 되돌려 교통사고 당일로 돌아간다. 석원은 이 교통사고로 인해 지난 10년간의 기억을 통째로 잃었다.
영화의 초반은 정우성의 독백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친구, 가족, 심지어 본인이 어떤 사람인지조차의 기억도 흐릿한 그는 병원에서 우연히 자신을 보며 애틋한 눈빛으로 눈물을 흘리는 진영을 만난다. 석원이 말을 걸자 쫓기듯 도망치는 진영이었지만, 그 우연한 인연을 시작으로 둘은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동거에 이어 결국 결혼까지 다짐한다.
관객들은 석원이 기억을 찾아가는 과정까지 함께 사랑하고, 이해하고, 공감한다. 하지만 ‘나를 잊지 말아요’는 마냥 멜로로 시작해 멜로로 끝나지 않는다. 기억을 찾으려 하는 석원과 감추고 싶어 하는 진영의 모습을 관객들이 자연스레 따라갈 수 있게 이끌며 그 수상한 인연의 연결고리를 파헤친다. 이 부분에서 뻔한 멜로 영화의 틀을 벗는다.
![](https://imgbntnews.hankyung.com/bntdata/images/photo/201601/fdb51e8d640bd1519150f56ba8e7bda3.jpg)
빼 놓을 수 없는 영화의 묘미는 역시 두 주연배우다. 최근 액션과 스릴러를 막론하고 다채로운 역할로 대중을 찾았던 정우성은 오랜만에 짙은 멜로 영화를 택해 맞춤옷을 입은 듯 석원을 그려냈다. 5년 만에 스크린으로 복귀한 김하늘 역시 로코퀸에서 멜로퀸의 타이틀까지 거머쥐기에 충분할 정도다.
이렇듯 연인으로 묶인 두 사람의 비주얼은 감탄밖에 나오지 않는다. 보기만 해도 미소가 지어지는 완벽한 비주얼은 영화의 집중도를 높이기까지 한다. 특히 내공까지 더한 정우성의 깊어진 눈빛은 멜로 영화에 더욱 최적화됐다. 하루하루가 리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정우성은 ‘나를 잊지 말아요’에서도 역시 그 잘생김을 뽐낸다.
김하늘은 정우성에 비해 절제하고 인내한다. 그리고 후반부로 갈수록 묵혀왔던 감정을 터뜨리며 감춰둔 감정을 분출한다. 정우성이 기자간담회 당시 “김하늘이 맡은 진영의 영화로 기억되길 바란다”는 말처럼 김하늘은 진영이 느끼는 입체적인 감정선을 더없이 잘 표현했다.
‘나를 잊지 말아요’는 수백, 수천, 수만 장의 스냅 사진들이 모인 듯 단조로우면서도 또는 그 반대다. 여러 조각의 퍼즐을 맞추다가 드디어 마지막 남은 한 조각을 끼워 넣은 듯 통쾌하면서도 진한 여운을 남긴다. 러닝타임 106분. (사진출처: 영화 ‘나를 잊지 말아요’ 메인 포스터, 스틸컷)
bnt뉴스 기사제보 star@bntnews.co.kr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