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603/d0ef9e891825de493f8175ab4ba8cef3.jpg)
제주도가 2030년까지 전기차 선도 도시로 올라서려면 현재 고집하는 순수 EV 외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의 다양한 친환경차에도 보조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게다가 제주도의 전력 수급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 운행되는 43만대의 자동차를 모두 전기차로 바꿀 경우 전력 예비율이 1.2%로 하락, 치명적인 문제를 드러낼 수 있음도 지적됐다.
![]() |
15일 KB투자증권 리서치센터의 <제주도 전기차 보급계획 타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먼저 제주도는 자동차의 하루 이용거리가 32.4㎞로 전국에서 가장 짧고, 영업용 또한 101.7㎞로 가장 낮다는 점에서 EV 이용 환경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운행되는 전기차에 비해 급속충전기의 부족은 문제로 떠올랐다. 전기차 보유 비중은 41.4%에 달할 만큼 많지만 급속충전기 보급 비중은 14.5%에 머물렀다는 것. 이에 대해 보고서는 "제주도의 전기차 보급 자체가 인프라 투자가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보조금 확대로 이뤄진 결과"로 분석했다.
실제 제주도의 경우 전기차 보조금 예산으로 2014~2020년까지 총 1조7,00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하지만 충전기 보조금의 경우 올해까지 311억원이 투입되고, 이후에는 민간사업자들이 965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보고서는 정부 투자비 중 98%가 EV 구입 보조금으로 사용되고, 충전 인프라에는 2%만 사용돼 투자의 불균형이 발생해 EV 보급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또한 전력 수급도 해결 과제로 지적했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을 100%로 가정했을 때 제주도 전력 판매량은 9,775Gwh로, 이는 2030년 제주도 예상 전력 판매량의 24%에 해당된다는 점을 지목했다. 이에 따라 EV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으려면 550㎿급 발전소 1기에 해당되는 전력의 추가 필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 |
결론적으로 제주도가 현재 계획에서 전기차 보급이 활성화되려면 충전기 인프라 확충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2030년 이전에 추가 전력공급이 필요한 만큼 순수 전기차에 얽매이기보다 '친환경차 100%' 목표가 보다 현실적이라고 조언했다. 하이브리드, EV, PHEV, FCEV 등의 선택폭을 넓히는 게 현명하다는 얘기다. 또한 '친환경차'로 범위를 넓히면 중형 및 SUV, 버스, 상용차 등도 다양화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보고서는 현재 사용하는 전기차의 연료 경제성에 대해서도 대책을 조언했다. 먼저 EV 한 대가 월 1,500㎞ 주행 시 전력사용량은 300㎾h로, 국내 평균 가구전력 사용량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전제했다. 이에 따라 가정용 전기를 사용하면 누진제에 따라 요금이 올라간다며 정부가 올해부터 내년까지 한시적으로 전기차용 전력 기본 요금의 50%를 할인한다는 계획인 만큼 서둘러 전기차 전용 충전기 사용을 확대해야만 소비자가 누진제를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국내 땅 밟은 중한자동차, 자동차계 '샤오미' 꿈꿔
▶ 메르세데스-벤츠, "삼성이 경쟁자라고? 글쎄…"
▶ 쌍용차, 티볼리 컨버터블 가능성은?
▶ FCA코리아, SIA 2016에 500X 전시
▶ 미니, '100대 한정' 블랙 수트 에디션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