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606/3db1b0d51a32d197f1c2704fdbff95fb.jpg)
포드자동차가 '2016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에서 혁신 이동수단을 공개하고 관람객에게 직접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고 29일 밝혔다.
포드자동차는 스마트 모빌리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판다 다이나믹 셔틀' 실험을 소개했다. 뛰어난 성능의 스케쥴링 툴을 이용해 중국 다롄의 포드 트랜짓 버스 시스템의 노선과 일정을 최적화하는 것. 회사는 중국 다롄의 셔틀 버스 업체인 판다 셔틀 및 칭화대학교와 함께 승객이 붐비는 피크 시간대와 오프 피크 시간대를 분석해 스케줄링 툴을 개발했다. 판다 다이나믹 셔틀 프로젝트는 판다 셔틀 모바일 앱의 알고리즘을 적용해 좀 더 다양하게 포드 트랜짓 셔틀 버스 노선과 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판다 다이나믹 셔틀은 승객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는 출퇴근 시간, 수요가 낮은 오후 시간, 대중교통이 제한적인 밤 시간대 등 세 가지 조건에서 각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피크 시간대 셔틀서비스는 일반적인 셔틀버스와 같이 고정된 노선에 따라 운행되지만 사용자가 버스 내 자리를 예약하고 승하차 지점을 사전 지정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13번 정도 정차하는 보통 버스와 달리 평균 6~7개 정류장만 정차하고 이용자 요구에 따라 노선을 정하기 때문에 일반 버스보다 35% 더 빠르게 순회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오프 피크 시간대에는 두 개의 주요구역에서 정해진 노선 없이 모바일 택시 앱처럼 앱을 이용해 사용자들이 예약한 장소로 움직인다. 다롄의 대중교통이 끊긴 밤에도 계속 운행된다. 늦은 밤 시간대 사용자들에게 유용할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싱크(SYNC)의 음성인식 서비스의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중국 3개, 태국 1개 등 총 4개의 앱링크(AppLink) 파트너쉽을 공개했다. 포드 소비자는 싱크 앱링크의 음성 컨트롤을 통해 스마트폰 앱을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발표한 두 개의 프로젝트는 도시의 주차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딩딩 주차 공간 잠금 실험(Ding Ding Parking Space Lock experiment)은 싱크를 이용해 주차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직원 전용 스마트 주차 실험(Employee Smart Parking experiment)은 상하이에 위치한 포드 아태 지역 직원들에게 쉽고 간편하게 회사 근처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외에 지역 사회에 초점을 맞춘 자동차 공유 개념을 탐구하고자 지난해 인도 방갈로르에서 시작한 포드 스마트 모빌리티 실험에 대해 공유했다. 이 실험 참가자들은 자동차 공유가 좋은 가성비를 제공한다고 느끼지만 사전에 자동차 사용을 예약해 사용하는 것에 대해 비교적 덜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드 아태지역 스마트 모빌리티 담당 디렉터 존 라슨은 "혁신 모빌리티의 주요 목표는 우리가 가진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며 "각기 다른 장소와 다른 서비스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주차 관련 실험은 각 지역별로 특징이 있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흥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다양한 협업을 통해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7월1일까지 상하이 뉴 인터내셔널 엑스포 센터 신관에서 열린다.
![]() |
김성윤 기자 sy.auto@autotimes.co.kr
▶ [기자파일]쌍용차 Y400, 또 하나의 '무쏘' 될까?
▶ '배출가스 조작' 폴크스바겐, 미국에서 17조4천억 원 배상합의
▶ 한국토요타 "친환경 운전법도 배우고 일본 연수도 가고"
▶ 일본, 자동차 백미러 대신 카메라·모니터 대체 허용
▶ '배출가스 조작' 폴크스바겐, 미국에서 17조4천억 원 배상합의
▶ 한국토요타 "친환경 운전법도 배우고 일본 연수도 가고"
▶ 일본, 자동차 백미러 대신 카메라·모니터 대체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