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utotimes.hankyung.com/autotimesdata/images/photo/201704/527b66cca6f95f4bbb2c2d3a0f4f5c9f.jpg)
포드가 대나무를 자동차 실내 내장재로 활용할 계획이다.
26일 포드에 따르면 포드 난징 연구센터는 최근 대나무가 합성 섬유와 천연 섬유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대나무와 플라스틱을 조합해 초경질 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
대나무는 목재, 벽돌, 콘크리트는 물론 일부 금속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며 100℃까지 견디는 내구성을 지닌다. 또 2~5년 만에 성장 가능해 공급이 수월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대나무는 아시아권에서 경제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며 건축 자재, 식품 원료 등 다용도로 쓰이고 있다.
대나무의 신소재 가능성은 이미 검증됐다. 지난 2008년 파나소닉은 대나무 섬유와 숯을 활용해 진동판을 만들면 음의 정확성이 향상된다는 점을 발견, 렉서스 일부 제품에 적용한 바 있다.
한편, 포드는 이스케이프에 대두와 열대 식물인 케나프로 제작한 도어 부품을 채택하는 등 친환경 소재를 이미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재활용 섬유로 이뤄진 부품을 개발해 F-150, 링컨 등의 제품에 쓰고 있다. 자율주행, 커넥티드 외에도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라는 게 회사 설명이다.
![]() |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 토요타, 연료비 많이 드는 '트럭'에 수소연료전지 얹는다
▶ G4 렉스턴 7인승 추가에 W도 유지…전방위 공세
▶ 기아차 스팅어, 속살 드러내니 '남성미' 물씬
▶ 독일 車연구소, 전기차는 중국이 독일 앞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