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인프라, 접근성도 떨어져 전국적 확산은 '물음표'
-신차 출시, 홍보 확대에도 보조금 부족으로 구매 난색
올해 초 친환경차로 각광받은 수소전기차(FCEV)가 대형 카셰어링 업체들에 외면을 받고 있다. 인프라가 부족한 데다 접근성이 떨어져 사업성이 낮다는 평가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쏘카와 그린카 등 국내 대형 카셰어링에 활용되는 수소전기차는 전무하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에 이들이 앞장섰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 동안 카셰어링 업체들은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보급에 적극 동참해왔다. 전기차 신차가 출시될 때마다 신속하게 구매, 전국 각 지역에서 카셰어링 서비스에 투입했다. 일반 소비자들도 카셰어링을 통해 전기차를 접해보고 이용 방법이나 전기차만의 특성을 익히는 경우가 많다. 국내 카셰어링 점유율 1위인 쏘카의 경우 친환경 기업 인증까지 받았다. 그린카 역시 친환경 카셰어링 서비스 운영 성과를 인정받아 2017 서울시 나눔카 1등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물론 쏘카와 그린카 등 업계 선두 주자들 역시 수소 전기차에 대한 관심은 높다. 조건만 맞다면 언제든 투입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 현대차의 신형 수소차 넥쏘 출시 당시 카셰어링 업계에선 사업 타당성 조사 등을 꽤 구체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수소차 카셰어링을 시작하지 않은 이유는 전기차와 달리 충전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결국 인프라 구축이 수반되지 않으면 셰어링이 어렵다는 의미다.
현재 일반 소비자가 접근 가능한 수소 충전소는 10곳 남짓, 그 나마도 도심과 주거 밀집지역과 떨어진 공장 지대,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위치해있다. 카셰어링 업체들은 충전 인프라 부족보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카셰어링의 강점은 생활 공간 속에서 차가 필요할 때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접근성 좋은 지역의 차고지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다. 수소차의 경우 충전이 가능한 곳의 접근성이 떨어지다 보니 카셰어링 거점을 잡기가 어려운 셈이다.
여기에 친환경차 보급에 큰 힘을 싣는 보조금 정책이 연초 삐그덕대며 카셰어링 의지를 꺾은 측면도 있다. 올해 기준으로 수소전기차에 배정한 정부 보조금은 차 한 대당 2,250만원이다. 그런데 전체 예산이 적어 240여 대 밖에 보조금을 지급할 수 없다. 최근 국회를 통과한 추경에서 보조금 예산 증액안이 빠지며 올해 수소차 보급은 끝났다는 얘기가 나온다. 5월 들어 다시 110억원이 증액됐다지만 지원 가능대수는 500대 수준에 머문다. 앞서 지난 3월 현대차 넥쏘가 사전 계약만 1,000대 이상 받은 점을 생각해보면 턱없이 모자란 금액이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배터리전기차(BEV)와 수소전기차(FCEV) 등 친환경차는 무엇보다 소비자들의 경험을 늘려가는 게 중요하다. 기존에 타던 내연기관차와 다른 측면들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막연한 불안감을 갖게 해서다. 카셰어링은 짧은 시간 동안 편리하게 차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 경험을 늘리는 최적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아 왔다. 수소차의 보급에 정부와 자동차 업계가 진정 관심을 갖고 있다면 카셰어링 업체들이 왜 선뜻 나서지 않는지 살펴보는 것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 기아차 스팅어 출시 1년, 평가 엇갈려
▶ 더 뉴 스파크, 미국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것은?
▶ BMW코리아, 5시리즈 할인 줄이나
▶ 한국타이어, 수입차사업 진출...푸조 판매권 확보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