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주목하면 낮아지고 외면하면 높아진다?
BMW 사태를 두고 연일 시끄럽다. 하루 평균 일어나는 10건 이상의 자동차화재 가운데 논점은 오로지 'BMW'에 맞추어져 있어서다. 불나는 소형 화물차, 국산 중형차 등은 아예 관심 밖이다. 이를 두고 소비자들이 그만큼 'BMW'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다시 말해 브랜드 인지도가 그만큼 상당했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번 사안을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엇갈린다. 먼저 제조사가 화재 원인을 스스로 인정하고 신속한 후속 조치로 피해 최소화에 나섰다는 점을 들어 오히려 신뢰도가 높아진다는 시각이다. 국산 및 수입을 가리지 않고 판매되는 모든 자동차는 언제나 화재 가능성에 노출돼 있고, 제조사가 일부러 화재를 의도하지 않은 이상 스스로 문제를 밝히고 신속한 조치에 나선 것 자체를 높이 평가해야 한다는 해석이다.
반면 BMW의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고려할 때 문제가 발생한 것 자체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심지어 이를 감추려 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적 시선도 존재한다. 이들은 사안의 심각성을 들어 관리 감독에 철저해야 할 국토부도 함께 지적하며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자 정부가 긴급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의 운행 정지 명령을 내렸고, 나아가 모든 자동차의 품질 책임을 제조사에 보다 엄격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관심은 '운행 정지 명령'의 적절성으로 번지고 있다. 현재 사태의 피해 당사자는 해당 차종을 보유한 소비자이고, 제품을 판매한 기업이 적극 해결에 나서고 있음에도 정부가 운행 정지 명령을 내린 것이 과연 적절한 조치였는가를 두고 벌어지는 논란이다. 이 점을 의식하듯 국토부도 긴급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가 대상일 뿐이라고 한정했지만 이미 '운행 중지 명령'은 시행됐다. 개인 재산권 침해 소지가 있지만 도로라는 공공 영역에서 자칫 발생 가능한 화재를 미연에 예방하는 것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게 국토부의 판단이다.
그러자 일부에선 현재 화재 가능성으로 리콜이 시행 중인 다른 자동차 가운데 아직 리콜 조치를 받지 않은 차도 운행이 중지돼야 형평성이 맞다는 주장을 제기한다. 실제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화재 위험성으로 리콜 명령을 받은 차는 100여종이 넘고, 대상도 35만대에 달한다. 리콜 이행이 완료된 것도 아니어서 화재 위험이 제거된 차와 그렇지 않은 차가 도로를 공유하는 중이다. 엄밀하게 보면 화재 위험성이 높아 긴급안전진단 및 운행 중지 명령을 받은 BMW 4기통 디젤엔진의 발화 가능성은 낮아진 반면 화재 위험성이 경고됐지만 아직 리콜 받지 않은 다른 차종의 화재 위험성은 그대로인 셈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사안은 BMW 4기통 디젤엔진 차종이 아니라 연간 5,000건에 달하는 '자동차화재'를 줄이는 일이다. 5,000건 가운데 'BMW'는 개별 사안인 만큼 법에 따라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조사가 적극 대응하도록 조치하면 된다. 또한 피해가 발생했다면 보상에 관해 BMW가 책임지도록 하면 된다. 더불어 '운행중지'라는 선례가 만들어진 만큼 화재 가능성이 발견된 30만대의 다른 리콜 대상 가운데 리콜 받지 않은 차의 운행 여부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그래야 해당 제조사가 적극 조치에 나서게 되고, 이를 통해 전체 자동차화재 사고를 줄일 수 있어서다. 국토부가 화재 가능성으로 리콜 명령을 내린 차종이 BMW 4기통 디젤엔진 제품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권용주 편집장 soo4195@autotimes.co.kr
▶ [하이빔]전기차, '가중전비'를 들어보셨나요?
▶ [하이빔]"BMW! 정부청사 앞 일단 정지?"
▶ [人터뷰]"자동차, 태생적으로 해킹에 취약해"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