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기차, '메이드 인 차이나' 편견 극복이 관건
-초소형전기차, '포스트 보조금 시대' 대비해야
5월 들어 일주일 간격으로 국내에서 전기차 박람회가 잇따라 열렸다. 특히 기존 완성차회사 뿐 아니라 초소형 전기차를 앞세운 국내 중소형업체, 그리고 바다 건너 중국에서 몰려 온 기업들이 존재감을 알리며 국내 전기차 시장 진출을 앞다퉈 선언했다. 이는 그만큼 한국의 전기차 시장 진입 장벽이 낮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달 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EV트렌드코리아 2019'에선 중국 최대 자동차 회사 중 하나인 베이징자동차그룹(BAIC)이 한국 진출을 공식 선언하며 전기차 3종을 자신 있게 출품해 이목을 끌었다. 중국 내 벤츠와 협업하면 쌓은 품질 및 가격 경쟁력 등을 전면에 내세우며 국내 시장의 초기 안착을 자신했다. 특히 소형차에 한정적이던 국내 전기차 시장에 드물게 중형급 제품을 갖춰 관심을 일으키기 충분했다.
물론 중국 업체에게 한국 시장은 그저 판매 대수를 늘리기 위한 곳은 아니다. 지리적인 이점과 높은 한국 자동차 시장의 성숙도 등이 그들에겐 글로벌 진출 전 충분한 시험장이 될 수 있어서다. 때문에 한국에서 자신들의 제품이 인정받으면 거대 글로벌 진출이 용이할지 모르지만 반대일 경우 오히려 경쟁력 부족을 드러내는 마당이 될 수도 있다. 앞서 북기은상의 SUV '켄보600'이 2,000만원대의 가격 경쟁력을 내세웠지만 국내에서 별다른 반향을 일으키지 못한 게 대표적이다. 전기차 다를 것이라는 기대가 있지만 낙관을 뒷받침할 만한 차별화된 요인을 찾기는 아직까지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이들은 관공서 중심의 초소형 전기차 수요, 정부 및 지자체 보조금에 힘입은 가격 경쟁력 등을 성장의 기회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선 여전히 보완이 필요한 품질, 불확실한 인증 일정, 부족한 판매 및 서비스망 등을 과제로 지적한다. 또한 일반 승용차 대비 비교적 자유로운 안전 규제가 적용되지만 추후 규제가 신설된다면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물론 업계에선 정부의 보조금 없는 EV의 경쟁력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배터리 등 핵심 부품 가격이 떨어지면 내연기관 못지않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기차 기업의 진짜 실력이 보조금 이후에 나타날 수 있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모든 제품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친환경성, 보조금에 기댄 가격 경쟁력은 더 이상 구매 요인이 되지 못할 수 있어서다. 그렇다면 전기차와 전기차를 제공하는 회사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것은 품질과 서비스, 인프라, 브랜드 파워 등 본연의 것들이다. 이 부분에서 오랜 시간 노하우를 쌓아온 거대 완성차회사에 맞서 신생 업체들이 평행선에서 경쟁할 수 있는 그들만의 무기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김성윤 기자 sy.auto@autotimes.co.kr
▶ [하이빔]스마트폰이 자동차를 지배하는 세상
▶ [하이빔]버스파업과 승차공유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