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 장기화…무역적자 가능성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249억4700만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3.3% 감소했다. 조업일수는 작년 동기와 같은 14.5일(토요일은 0.5일로 계산)이었다. 이 추세라면 이달 월간 수출도 10% 이상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작년 12월(-1.7%) 이후 9개월 연속 마이너스, 또 올 6월(-13.5%) 이후엔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 기록이 된다.
이달 1~20일 수입은 267억3300만달러였다. 작년 동기 대비 2.4% 줄었다. 같은 기간 무역수지는 17억8600만달러 적자였다. 월간 기준으로도 무역적자를 내면 2012년 1월(-23억2000만달러) 이후 7년8개월 만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에다 한·일 갈등까지 터지면서 올해 수출 6000억달러 달성이란 목표는 물 건너갔다”며 “연간 기준으로 수출이 20% 이상 쪼그라드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달 수출이 감소한 가장 큰 요인으로는 반도체와 대(對)중국 판매 부진 영향이 첫손에 꼽혔다. 반도체 수출 감소율은 29.9%에 달했다. D램 메모리 가격이 작년 동기 대비 57.6%, 낸드플래시 단가가 21.3% 떨어졌기 때문이란 게 정부 설명이다. 반도체에 이어 석유제품(-20.7%), 자동차 부품(-1.6%) 등 수출도 부진했다. 국가별로는 대중국 수출이 20.0% 줄었고, 일본 수출도 13.1% 감소했다. 미국(-8.7%) 유럽연합(EU·-9.8%) 등으로의 수출 역시 위축됐다.
일본에서의 수입은 이달 1~20일 8.3% 줄었다. 주요국 중에선 가장 큰 폭이다. 한·일 분쟁의 여파가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로 확산하는 ‘경기침체’
내수침체의 골도 깊어지고 있다. 지방이 만성적인 경기침체에 시달리는 동안에도 버텨온 서울 지역의 생산과 소비마저 꺾이기 시작했다.
통계청이 이날 공개한 ‘2019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을 보면, 올 2분기 전국 광공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0.8% 줄었다. 특히 서울 지역(-5.7%)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서울 서비스업생산 증가율 역시 전국 평균(1.4%)보다 낮은 0.3%에 그쳤다.
서울의 소비 증가율은 전국 평균(2.0%)보다 높은 5.4%였지만 내수와 관련이 없는 ‘면세점 특수’ 덕분이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작년부터 중국인 보따리상(따이궁)이 급증하면서 면세점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고, 대규모 면세점이 있는 서울이 수혜를 입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마저 지난해 2분기 증가율(7.3%)과 비교하면 둔화된 수치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으로 부산·울산·경남에서 시작된 경기침체가 서울로 확산하고 있다”며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유입된 인력이 많은데도 고용률이 답보 상태란 건 그만큼 침체가 심해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반도체 가격 및 유가 하락, 경기침체 등이 겹치면서 생산자물가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같은 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0.3% 떨어졌다. 생산자물가가 1년 전보다 내림세를 보인 건 2016년 10월 이후 2년9개월 만이다.
조재길/성수영/고경봉 기자 roa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