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이 외무상이 최근 유엔총회에 오지 않는다고 알려졌으며,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 외무상은 2016년 외무상에 임명된 뒤 계속 유엔총회 연설을 맡았다. 그는 지난 23일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담화를 발표했다. 지난 8월 초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도 개회 직전 불참을 통보했다.
이 외무상의 불참이 확정될 경우 외무성 유엔 담당인 박명국 부상이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북한의 보이콧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 미·북 고위급 협상 재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지난 29일 올해 두 번째 개최한 최고인민회의에서 대외 정책 관련 메시지를 전혀 내지 않았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회의장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며, 대미·대남 관련 별도 언급도 없었다. 대신 국무위원장의 헌법상 권한을 기존보다 크게 강화하는 방향으로 헌법을 수정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30일 “북한이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은에게 법령 공포권과 대사 임면권 등을 부여하며, 외교 고립 탈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정권 수립 기념일(9·9절)을 앞두고 국무위원회 중심의 국가권력 체계를 확립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해석했다. 지난 2월 말 ‘하노이 회담’ 결렬 후 대내외 위상에 크게 흠집이 난 김정은의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고, 미국과의 협상 대타결 시 김정은의 독자적 결정권을 키웠다는 것이다.
세대교체 차원의 인사도 나왔다고 평가했다. 안보전략연구원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이 김영대에서 박용일 조선사회민주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으로 교체된 것에 대해 “박용일은 1960년대 중반 생으로 직책 관례상 다소 파격적”이라고 했다.
유엔총회에 이 외무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미·북 간 물밑 접촉이 이뤄질 가능성은 큰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비핵화 실무협상과 관련해 미국이 전달받은 북한의 반응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끝난 만큼 북한이 곧 물밑 접촉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뉴욕의 미·북 채널도 정상 가동 중이며 북한의 실무협상 팀도 구성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단장으로는 김명길 베트남 주재 북한대사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