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증진의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건강증진사업과 만성질환관리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민간 부문의 참여가 부족하고, 국가 건강증진사업이 주로 시·군·구 보건소에서 진행되다 보니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 수는 지난 4월 현재 1824만 명을 넘는다. 이 중 상당수가 3~4인 가족을 이루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경우 거의 전 국민에게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국내 일부 기업은 ‘건강도 경영’이라는 인식으로 만성질환이 있는 임직원을 위해 다양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비만,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자를 위해 사내 운동프로그램과 사내 의원의 전문의 진료를 하며, 임직원들이 고민이나 스트레스 등을 상담할 수 있는 상담실도 운영한다.
이런 사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근로자들의 건강 수준을 개선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건강 습관을 가족 구성원에게 전파함으로써 전 국민의 건강증진을 돕는 효과를 낳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시근로자가 50명 이상인 사업장에서는 반드시 보건관리자를 선임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 보건관리자는 근로자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 수행할 수 있다. 규모가 큰 사업장은 인근 병의원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거나 사내 의원을 개설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사업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응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의료진이 주축이 돼 사업장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가 가능해진다.
정부 지원도 필수적이다. 각종 사업장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건강증진사업 실시 기업에 대한 지원과 인센티브 등 사업장 건강증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모든 국민이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