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09/AA.20514175.1.jpg)
경기 안산 반월공단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A사는 지난 2년간 10여 명의 직원이 그만둬도 충원하지 않았다. 이 회사 대표는 “납품하는 원청사 중 올해 또는 내년에 신규 사업이나 투자 계획을 내놓은 곳이 없다”며 “일거리가 줄어 숙련된 인력조차 데리고 있기가 버겁다”고 말했다.
중소기업계의 어려움은 공장 가동률에서도 잘 드러난다. 상대적으로 우량한 중소기업이 몰려 있는 수도권의 국가산업단지에서조차 제조업체 가동률은 매년 4~5%포인트 떨어지고 있다. 전국 산업단지 포털 이클러스터넷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업체 등이 다수 포진한 인천 남동산단의 가동률(지난 6월 말 기준)은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7%포인트 낮은 61.6%까지 떨어졌다. 공장설비를 최대 생산 가능한 수준의 60%만 돌리고 있다는 의미다. 중소제조업체가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시화산단도 상반기 말 공장 가동률이 67.9%에 머물렀다. 철강·기계·비금속·화학 등 대부분 업종의 가동률이 1년 새 하락했다.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력에 의지하는 표면처리(도금)·금형 등 뿌리산업 기업들도 인력 채용을 줄이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지난 1분기 외국인 근로자(E9·비전문취업) 신청률은 98.5%다. 정부가 공급하는 인력(9996명)보다 중소기업 수요(9842명)가 적다는 뜻이다. 중기중앙회가 올해 외국인 근로자 신청을 하지 않은 중소기업 1만1170여 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5.2%가 “경기 부진과 경영 악화, 인건비 부담으로 고용을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