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테러’는 우리나라엔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한국은 각종 무인기 1000여 대(2017년 통일연구원 추정)를 실전 배치 중인 북한과 대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이번 테러 배후로 지목한 이란과 북한의 ‘무기 커넥션’도 우려스런 대목이다. 양국은 미사일 등 주요 무기 개발 과정에서 협력해왔기에 이란이 첨단 공격용 무인기 기술을 북한과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북한이 공군 열세를 만회하기 위한 ‘비대칭 전력’으로 배치한 소형 무인기는 우리 군이 마땅한 대응수단을 찾지 못할 정도로 위협적인 존재다. 2014년 파주, 삼척, 백령도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에서 군사시설들과 청와대 상공 촬영 영상이 나와 충격을 줬다. 2017년엔 경북 성주 사드 기지를 촬영한 무인기가 발견됐다. 지난달에는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비행체가 1급 국가보안시설인 고리원자력발전소에 출몰했다. 북한이 무인기에 화생방 무기를 탑재해 공격하면 그 피해는 가늠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 군은 북한의 또 다른 비대칭 전력인 사이버 공격에도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이 최근 공개한 북한 해커조직 ‘안다리엘’은 2016년 한국 국방부 장관실 컴퓨터를 해킹해 ‘한·미 연합작전계획 5015’ 등의 극비 군 정보를 빼내갔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문 최악의 군기밀 해킹사건으로 꼽힌다.
무인기에 하늘이 뚫리고 해킹에 사이버 안보가 뚫리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레이더와 방공시스템을 촘촘히 구축하고 사이버전 역량을 강화하는 대책이 시급하다. ‘9·19 남북 군사합의’ 등의 여파로 이완된 군의 기강을 이참에 곧추세워 유사시를 대비한 경계태세도 재확립해야 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