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09/AA.20523356.1.jpg)
대상지는 5개 지구로 총 2530만2000㎡ 규모다. 센텀지구는 정보통신기술 및 게임, 서면·문현지구는 핀테크와 블록체인 중심 창업촉진지구로 지정된다. 부산역·중앙동지구는 서비스와 물류 및 전자상거래 중심으로, 사상스마트시티는 제조업 중심 창업촉진지구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영도지구는 해양산업과 관련한 창업 거점지역으로 육성한다. 시 관계자는 “접근성(교통 여건)과 창업 인프라 집적도, 특화산업 연계, 장기 발전 가능성 등을 참조해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18일부터 10월 17일까지 기본계획(안) 공고 및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11월 공청회를 연 뒤 12월 지구 지정을 확정 고시할 계획이다.
현재 5개 지구에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센텀기술창업타운(센텀), KRX·IBK 창공, 위워크(서면·문현), 크리에이티브 샵·부산유라시아플랫폼(부산역·중앙동), 부산관광기업지원센터(영도) 등 16곳의 창업지원 앵커시설이 있다. 앞으로 사상스마트시티 재생사업 개발(사상), KT&G 상상마당(서면), 북항재개발 1단계 상업업무·정보기술(IT)·영상지구 조성(부산역), 스템빌리지(영도) 등 대규모 민자 및 국책사업과 연계한 창업지원 앵커시설을 추가로 들인다.
시는 지구 내 창업지원 앵커시설을 중심으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집적화와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우수 투자자와 창업기업 유치, 중견기업 참여, 공간 지원 및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운영,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7월 지정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및 기초 지자체의 지역특화발전특구와 겹치는 센텀·문현·영도(전체), 부산역·서면(일부) 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사업과 연계한 규제특례 지원도 병행하기로 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창업촉진지구는 지정이 목적이 아니라 실질적인 창업자 지원이 목적”이라며 “창업촉진지구를 중심으로 국내외 우수한 투자자와 창업자를 집적해 부산 기술창업 시장 규모를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