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으로 공백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 군사정보 수집 능력을 보강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방위성이 2020년도 예산 요구안(부처 차원의 예산안)에 관련 조사비 예산으로 1억엔(약 11억600만원)을 책정했다고 23일 보도했다.
방위성은 이 예산으로 미국 등의 민간 기업들이 추진 중인 우주 비즈니스 동향을 조사해 자위대가 다른 나라 군사 정보를 수집하는 데 민간 기업들의 위성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일본은 고성능 카메라로 낮에 지상의 모습을 촬영하는 광학 위성 2기와 야간이나 기후가 좋지 않을 때 전파를 사용해 촬영하는 레이더 위성 5기 등 7기의 첩보 위성을 운용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중국과 러시아 등이 다른 나라의 위성을 공격할 수 있는 '킬러 위성'이나 전자파 무기를 활발히 개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첩보 위성을 최대한 늘리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첩보 위성은 1기당 발사 비용이 400억~500억엔(4000억~5000억원)에 달해 민간 기업의 위성을 자국의 정찰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가 비용을 낮추면서도 민간 위성을 통해 북한, 중국의 군사 활동에 대한 정보수집 능력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겉으로는 한국이 종료를 결정한 한일 지소미아가 보완적인 도구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일 관계 악화 상황에서 정보 수집 역량이 약화할 것으로 보고 독자적인 대북 첩보 능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올해 5월 이후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궤도를 두 차례 이상 탐지하지 못한 사실이 이날 교도통신의 기사로 보도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정부는 첩보 위성이 기능을 상실할 경우 대체 가능한 소형 위성의 개발에도 착수해 내년 시험 발사할 계획도 갖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