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했던 일자리는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일자리가 등장할 전망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선진국 일자리 중 약 700만 개가 사라지고 약 200만 개 일자리가 새롭게 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기술 혁신과 맞물려 일자리의 관점이 전환되는 기로에 서 있는 것이다.
그런데 국내 고용시장에는 여전히 찬바람이 분다. 특히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불안감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국내 실업자 수는 109만7000명으로, 1999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15~29세 청년 실업률이 9.8%, 청년 체감실업률은 23.8%로 ‘청년 고용 빙하기’가 이어지고 있다. 8월 고용지표는 전반적으로 조금 나아졌다지만, 정부 재정 지원으로 만든 고령자들의 단기 임시 일자리만 많이 늘었을 뿐 청년층 고용은 되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변하는 기업 구조와 노동 환경 속에서 날로 심각해지는 청년 실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과 함께 새로운 직종의 활성화를 위한 인재 육성 교육이 뒷받침돼야 한다.
세계 각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에 발맞춘 청년 인재 육성을 통해 일자리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중국은 중국 내 최고 명문 대학들에 정책적 지원을 집중해 매년 수천 명의 반도체 인재를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 정부는 IBM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뉴칼라 인재 육성 교육 모델 ‘IBM P-TECH’를 운영하는 등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IBM P-TECH 모델은 한국에도 도입돼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4차 산업혁명 교육 지원 프로그램이 쏟아져 나온다. 그러나 단순히 교육하는 데만 그쳐서는 의미를 갖기 어렵다. 실무 중심으로 교육을 강화하고, 취업 연계를 통해 교육받은 청년 인재들이 곧바로 기업 현장에 투입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장서 이끌어 갈 수 있는 교육으로 확대돼야 한다.
대표적인 청년 인재 육성 프로그램으로는 ‘혁신성장 청년 인재 집중 양성 사업’을 꼽을 수 있겠다. 이는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실무 인력을 육성해 국가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교육 후엔 취업을 연계해 청년 실업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기획된 사업의 하나로 판단된다. 4차 산업혁명의 8대 선도 분야 실무 인재 육성을 목표로 현재 2차 연도 교육을 추진 중이다.
우리가 맞을 미래 사회는 비약적인 기술 발전과 융합으로 인해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이로 인한 불확실성도 커질 것이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청년들에게 일자리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는 교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