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45개 증권사 채무보증 잔액은 42조4357억원으로 1년 전인 2018년 6월 말(33조1319억원) 대비 28.1% 증가했다. 채무보증 잔액은 증권사의 부동산금융 관련 위험노출 정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다. 증권사들은 주로 아파트나 산업단지 관련 PF 대출채권의 신용을 보증하는 방식으로 부동산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회사별로는 메리츠종금증권의 채무보증액이 7조6754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투자증권(4조3228억원), KB증권(3조9802억원), 하나금융투자(3조7414억원), NH투자증권(3조5143억원), 신한금융투자(3조4483억원), 미래에셋대우(3조2251억원) 순이었다.
주요 증권사별 전년 동기 대비 채무보증액 증가율은 하나금투(65.6%), 메리츠증권(40.1%), 신한금투(34.6%), KB증권(33.9%), 한투증권(20.9%) 순으로 높았다. 반면 NH투자증권(-10.2%)과 미래에셋대우(-4.9%) 등은 지난 1년 새 채무보증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과거 부동산금융 선두주자로 꼽혔던 두 대형사가 위험 관리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채무보증을 줄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미래에셋은 해외 호텔 등 글로벌 대체투자와 국내 부동산 투자 간 균형을 맞추자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은 지난 3월 임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글로벌 관점에서 보면 한국 부동산은 일부 청정 지역을 제외하곤 우하향 선상에 진입한 것 같다”고 진단했다.
증권사들이 부동산금융 규모를 당장 큰 폭으로 줄이긴 쉽지 않을 것이란 견해도 있다. 증권사 이익에서 부동산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이 결코 작지 않기 때문이다. 메리츠증권은 올 상반기 채무보증을 통해 1231억원을 벌어들였다. 하나금투(1165억원), NH투자증권(758억원) 등도 채무보증 이익 규모가 컸다.
부동산금융에 뒤늦게 뛰어든 중소형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한 증가세도 여전히 가파르다. 대신증권은 1년 새 채무보증 증가율이 322%에 달했고 키움증권(252%), 유안타증권(102%) 등도 같은 기간 채무보증액이 두 배 이상 늘었다.
김성진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및 경기 둔화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부동산 경기 하강 위험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액이 크거나 증가율이 높은 증권사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관련뉴스